학술논문
특수교육 인사제도 경향분석과 전망
이용수 167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원경(Won Kyung Kim)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3권 제3호, 21~4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부수립 이후 특수교육인사제도의 주요요소인 특수교사양성제도, 특수교사자격취득기준을, 변화가속요인으로서는 특수교육 법적근거, 교육실시장소 및 특수교육과정을 검토 분석하여 바람직한 미래특수교사의 틀을 예측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기간은 1948~현재까지 60년간, 분석요인은 5가지 그리고 분석방법은emerging issues analysis를 도입․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교사자격제도는 현행 ‘특수학교’교사가 아닌 ‘특수’교사로 개선해야 한다.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교사자격을 동시에 인정하거나 일본의 특별지원교육 코디네이터, 영국의 특수교육전문상담가(SENCO) 모델도입이 바람직하다. 둘째, 특수교사자격취득기준도 미래형 특수교사자격에 맞도록 정교하게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to analyze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government-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qualification acquisition standard as the important factor and special education legal basis, educational operation place and special curriculum as the change acceleration factor and to predict the desirable model of future special education teacher. Emerging issues analysis was week to analyze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factors for 60 years since the 1948.
Findings are as follows: 1.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needs to be changed into the “special” teacher not into the current “special school” teacher. It is desirable to recognize as both the special school teacher qualification and the general school teacher qualification, or adopt the special support education coordinator in Japanese and the Special Education Coordinator(SENCO) in England.
2. Special education teacher qualification acquisition standard is reguired to be matched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 qualification of the futur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장애인 차별금지정책 형성과 결정과정 분석연구
- 희귀질환을 가진 중증장애학생의 교육적 고려 실태 및 지원방안
- 통합어린이집에서의 언어치료 지원내용 및 지원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 표본화 비율과 신호 대 소음 비율(SNR)이 감음신경성 청각장애학생의 어음변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발달장애 특수학교(급)의 컴퓨터 활용 현황 및 요구 조사
- 한국소설에 나타난 장애인관 연구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특수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미술수업에서 학습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 특수학교 현장관찰실습 교과 운영에 도입된 수퍼바이저제도의 효과성 연구
- 특수교육 인사제도 경향분석과 전망
- 학습장애 진단의 대안적 통합모형에 대한 의사결정나무 기법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대안학교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실행과 인식 및 지원 요구
- 한국특수교육학회 연구윤리규정 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