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희귀질환을 가진 중증장애학생의 교육적 고려 실태 및 지원방안
이용수 309
- 영문명
- The Practice of Educational Considerations and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ve Rare Disease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윤정(Park, Youn Jung) 한경근(Han, Kyoung Gu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3권 제3호, 233~2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3,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실제 특수학교에 장애 특성 외에 질환과 관련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요구를 지닌 희귀질환 중증장애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으며, 특수교사로 하여금 이들에 대한 이해 및 건강관리 관련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지역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희귀질환을 가진 중증장애학생에 대한 학교 내 지원 체계와 학생이 보이는 특성에 따른 교육적 고려 실태를 파악하고, 지원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며 보건복지부의 의료비지원을 받고 있는 희귀질환 16종의 희귀질환에 해당하는 중증장애학생을 담임하고 있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관련 전문가 7인에게 개별 면담을 통해 협력적 지원 방안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라 특수교사의 인식, 부모-교사-의료진 간 의사소통, 개별화교육계획(IEP) 내 건강관리, 학교 보건시스템과 학교생활 및 수업참여에 있어서 교육적 고려 실태와 더불어 협력적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ve rare disease were registered at special schools in Seoul have more complex educational and medical needs than others who do not have such rare disease. Thus, special educators are requi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ir disease and health condit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upport system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educational considerations by special teacher and to suggest school-based cooperative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ve rare disease.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a total of 21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13 special schools in Seoul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ve rare disease getting medical funds from the government unit lik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illed out a survey questionnaire. In addition, a total of 7 related professionals were interviewed for cooperative support system. On the basis of results, special teacher's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mong parent, teachers and medical professionals, educational considerations and appropriate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ve rare disease were discus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장애인 차별금지정책 형성과 결정과정 분석연구
- 희귀질환을 가진 중증장애학생의 교육적 고려 실태 및 지원방안
- 통합어린이집에서의 언어치료 지원내용 및 지원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 표본화 비율과 신호 대 소음 비율(SNR)이 감음신경성 청각장애학생의 어음변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발달장애 특수학교(급)의 컴퓨터 활용 현황 및 요구 조사
- 한국소설에 나타난 장애인관 연구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특수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미술수업에서 학습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 특수학교 현장관찰실습 교과 운영에 도입된 수퍼바이저제도의 효과성 연구
- 특수교육 인사제도 경향분석과 전망
- 학습장애 진단의 대안적 통합모형에 대한 의사결정나무 기법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대안학교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실행과 인식 및 지원 요구
- 한국특수교육학회 연구윤리규정 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