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 학제의 변천 - 초ㆍ중등교육의 수업연한을 중심으로

이용수 711

영문명
Historical Trends in the Grade Configuration of the U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양성관(Yang Sung-kwan)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57~8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0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국의 학제를 중심으로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의 수업연한 변천과정을 역사적 배경과 함께 교육적 상황을 기술하고,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 수업연한의 형태와 그와 관련된 쟁점을 분석하였다. 미국의 학제 가운데 수업연한의 변화는 크게 두 차례 변화되었다. 20세기 초 전통적인 8-4제에서 고등학교가 분화된 저학년고등학교의 도입으로 6-3-3제가 주를 이루었다가, 20세기 중반 이후 중학교라는 새로운 개념이 도입됨으로 인해 5-3-4제가 주를 이루었다. 최근에는 다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통합하는 유형이 시도되고 있다. 미국 학제의 변천과정을 통해 국내 학제개편 논의에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학년구성의 다양성, 중학교 개념과 사춘기 아동에 대한 이해, 수업연환을 전환하기 위한 전략 등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historical trends in the grade configuration of the U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Junior high schools emerged in the first few decades of the century and grew in number until the early 1970s, which the junior high school replaced the traditional 8-4 pattern with 6-3-3 plan. In the mid 1960s, the decline of the junior high coincided with the rise of the middle school which the 5-3-4 arrangement became the most common pattern of grade configuration. Recently, several urban school districts, such as Milwaukee, Baltimore, and Philadelphia, are abandoning middle school and middle school concepts and building K-8 schools in order to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 and create an atmosphere more conducive to learning.
  The topics of grade configuration include the following: Which grades should be grouped together in one school? How many grades should be in one school and how many classrooms per grade? How many school transitions will students make during the K-12 years? Based on these issues, the US school organizations are trying to find particular sequence of grade span most cost effective, yielding higher student achievement.
  There is a controversy on innovating current school ladder system of public education in Korea.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irst, when it comes to grade span, diversity rules. At some schools grade span comes about by choice, at others as a result of practical and administrative considerations. Second, no matter which grade span school districts choose, the most important decision is what kind of education they will offer young adolescents. Third, rather than debate which grade span is best for the entire nation, we would be better off finding better ways to reach out to young adolescents underprivileg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수업연한의 주요 변화
Ⅲ. 현행 수업연한과 관련 쟁점
Ⅳ. 수업연한 개편 사례: K-8학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성관(Yang Sung-kwan). (2006).미국 학제의 변천 - 초ㆍ중등교육의 수업연한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6 (4), 57-83

MLA

양성관(Yang Sung-kwan). "미국 학제의 변천 - 초ㆍ중등교육의 수업연한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6.4(2006): 57-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