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이중 언어 텍스트와 그에 관한 논의들

이용수 608

영문명
Diaglosia in the Late Chosun and Related Arguments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安大會(Ahn Dae-hoe)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24輯, 203~23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조선 후기 이중 언어 텍스트의 유통 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조선 후기 학자들이 그에 관해 논의한 내용을 검토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한문과 국문의 이중 언어 텍스트가 양적으로 팽창하여 문자생활에서 한문 공용어의 지배적 위상이 흔들리고, 구어에 밀착한 언문의 세력이 확장되었다. 조선 후기에 풍성하게 출현한 이중 언어 텍스트를 종합하여 파악할 때, 대체적으로 한문에서 한글로의 번역, 한글에서 한문으로의 번역, 그리고 한문과 한글 텍스트의 동시 보급이라는 세 방향으로 텍스트가 유통되었다. 당시에는 이렇게 이중 언어 텍스트가 동시에 보급되어 대중의 언어능력과 신분, 성별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용되었다.
  이러한 현황에 직면하여 지식인들은 각각의 견해를 제기하였다. 먼저 서로 다른 문자 체계를 사용하는 문제점을 비판하였는데, 그들의 비판은 언문일치가 되지 않는 현실을 지적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다음으로는 대중들과 호흡하기 위해 언문 텍스트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글이 다수 등장하였고, 한문 텍스트에 익숙한 식자층을 위해 한문 텍스트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글 역시 다수 등장하였다. 그들이 제기한 논의를 통해 이중 언어 텍스트가 다수 등장하게 된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조선 후기에는 다수의 저작이 한문과 한글 텍스트로 유통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한문을 지배적 공용어로 고착시켜 온 조선왕조의 어문 정책이 점차적으로 균열을 겪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irculation of twofold texts in diaglosia in the late Chosun and the related arguments the scholars discussed. In the late Chosun, the production of the texts in Chinese and Korean were expanded and the power of Korean as vernacular language was more strengthened, while the dominancy of Chinese language was being shaken. It seems that there were the translation of Chinese writing into Korean version, the translation of Korean writing into Chinese version, and concurrent supply of the texts in Chinese and Korean in the late Chosun. These different texts were selectively accepted according to the status, gender and language competency.
  The literati presented their own viewpoints in this situation. First, they criticized the different language system, focusing the disagreement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They also emphasized the production of Korean texts to keep step with the common people as well as the production of Chinese texts for the literate stratum. These arguments were the reason why two different texts in diaglosia system were produced in great numbers. Through this analysis, I can show that the language policy of the Chosun dynasty that had fixed the Chinese language as the official language gradually began to be impaired in the late Chosun.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이중 언어 텍스트 활성화의 현황
3. 이중 언어 텍스트를 바라보는 시각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安大會(Ahn Dae-hoe). (2006).조선 후기 이중 언어 텍스트와 그에 관한 논의들. 대동한문학, 24 , 203-232

MLA

安大會(Ahn Dae-hoe). "조선 후기 이중 언어 텍스트와 그에 관한 논의들." 대동한문학, 24.(2006): 203-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