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秋史 金正喜의 繪畵觀 형성과 변화 - 詩論과의 관계와 淸代 畵論의 수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848

영문명
The Formation and Change of Chusa Kim Jeong­hee"s View of Paintings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현권(Kim Hyun-kwo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25輯, 179~224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秋史 金正喜(1786~1856)는 19세기의 사상과 학문, 그리고 문학과 서화계에 새로운 지표를 제시했던 문인이다. 그는 1809년의 燕行을 시점으로 1856년의 서거까지 자신의 예술론을 살펴볼 수 있는 기록을 남겼다. 그 기록을 시기별로 구분한다면 김정희의 예술론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알 수 있다. 필자는 김정희의 시론을 비롯해 화론과 서론 등, 제 예술론이 담겨 있는 기록의 편년을 설정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김정희의 행적 및 교류관계와 현전하는 그의 묵적과 비교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편년을 근거로 김정희의 시론을 검토해 본 결과, 性靈, 格調, 神韻 등이 서로 조합되어 어느 정도 시기별로 나타나고 있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김정희는 연행을 계기로 翁方綱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조선에 蘇軾像의 제작과 崇蘇 열풍을 일으켰으며, 회화 경향 역시 당시 燕京의 문인들이 애용하였던 소슬한 小景圖류를 선호하였다.
  김정희의 제주 유배시기와 江上(서울) 시기는 이전 시기의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翁方綱의 시론에 기초하면서도 王士禎의 神韻說에 대한 효용성을 인정하였다. 그 결과 朱彛尊의 詩法을 위주로 하고 王士禎의 詩法을 참작한다는 논리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翁方綱의 詩論과 차이를 보이는 측면이다. 이 시론은 김정희의 畵論에서 黃公望을 위주로 하고 倪瓚의 神韻을 참작한다는 산수화론과 연결된다. 그리고 김정희는 淸代 화론을 수용하여 四王畵派에서 黃公望에 이르는 學畵 계보를 성립하였다. 이 같은 화론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작품에 적용되었다. 다만 黃公望과 倪瓚의 작품을 열람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기에 김정희는 董其昌을 기본으로 하고 四王畵派의 筆墨法을 가미하는 방식을 현실적 대안으로 택하였다. 이때의 필묵법은 神韻의 표현과 연결된다. 그리고 김정희의 필묵이론 역시 화풍에서와 마찬가지로 淸代의 이론에 영향을 받았다.
  북청 유배와 과천 은거시기에는 性靈·格調구비론이 성립된다. 김정희는 성령과 격조의 조화를 주장하면서도, 특히 성령이 격조로 제정되지 않았을 때를 심히 우려하였다. 이후 과천시기를 중심으로 王士禎의 신운설이 김정희 시론의 전면에 등장하게 되는데, 이는 그의 禪家的 삶 속에서 택한 예술론이기 때문이다. 이 시론 역시 화론에 적용된다. 김정희는 禪境의 회화 세계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때 나타나는 필력을 金剛杵에 비유하였는데, 기존의 법에 구애받지 않는 順筆이다. 그리고 四王에서 黃公望에 이르는 계보와 병립되는 부류로, 王維와 巨然, 그리고 貫休라는 화가부류를 새롭게 상정하였다. 이러한 화론을 설명할 수 있는 작품으로 <不二禪蘭>을 꼽을 만하다. 그러나 실제의 조형적 특징은 신운설에서 말하는 平淡과는 거리가 멀며 오히려 禪宗畵에서나 볼 수 있는 禪美에 닿아 있다.
  김정희는 이처럼 시론과 淸代 화론을 기초로 화론을 정립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론들은 서로 충돌되지 않고 있다. 이 여러 이론을 시간 개념에 구애받지 않고 언급한다는 것은 무리가 따르나,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김정희는 개인마다 다른 性靈을 인정하였으며, 이를 예술 창작의 동기이자 일차적 단계로 보았다. 그리고 실제 창작시에는 성령을 격조로서 제정을 해야 하는데, 그 格調는 한 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學畵의 계보를 차츰 차츰 밟아 올라가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학습이 요구된다. 이렇게 해서 나타난 결과는 구천구백구십구분에 해당된다. 나머지 일분마저 이루게 되면 바로 神韻이 구현되는데, 왕사정의 신운과 자신의 禪家적 삶이 어우러진 것이다. 이는 추사 김정희 회화관의 窮極이다.

영문 초록

  Chusa Kim Jeong-hee(1786~1856) is a scholar who suggested new directions in philosophy, science, literature, painting and calligraphy in the 19th century. He left records showing his art theories from his trip to Beijing as an envoy in 1809 to his death in 1856. By examining the records by period, we can see how Kim Jeong-hee"s art theories had been formed. The present author attempted to set the chronicle of his records containing Kim Jeong-hee"s art theories including theories on poetry, on paintings, and on calligraphy, and compared it with Kim Jeong-hee" doings through his life, his exchanges with others, and his works extant. When Kim Jeong-hee"s theories of poetry were examined based on the set chronicle, Emotional sensibility, Figuration and Transcendental elegance appeared intermingled by period. The details are as follows.
  With his trip to Beijing as an envoy, Kim Jeong-hee was strongly influenced by We?ng Fa?ng?ga?ng and initiated the trend of drawing the image of Su??shi? and adoring him, and the trend of paintings in those days also preferred the bleak style of Hwanghansogyeongdo, which was popular among literary men in Beijing at that time.
  During the period of exile to Jeju and the period in Gangsang (Seoul), under the continuous influence of the previous periods, Kim Jeong-hee acknowledged the usefulness of Wa?ng Shi??zhe?n theory of Transcendental elegance based on We?ng Fa?ng-ga?ng"s theory of poetry. As a result, he presented the theory that adopted Zhu? Y?-?zu?n"s poetic method as the base and referred to Wa?ng Shi?-zhe?n"s poetic method, which showed the difference from We?ng Fa?ng?ga?ng"s poetic theory. The theory on poetry is linked to his theory on landscape paintings that adopted Hua?ng Go?ng-wa?ng"s style as the base and referred to Ni? Za?n"s Transcendental elegance. In addition, Kim Jeong-hee followed the painting theories of the Qing Dynasty, learning first from the School of Four Wangs and ultimately from Hua?ng Go?ng-wa?ng. The painting theory was not definite but was applied to his works. However,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view the works of Hua?ng Go?ng-wa?ng and Ni? Za?n, Kim Jeong-hee chose a practical alternative, adopting Do?ng Qi??cha?ng as the base and adding the technique of brush-and-ink works from the School of Four Wangs. The (Indian ink paintings) brush-and-ink work technique was connected to the expression of Transcendental elegance. In addition, Kim Jeong-hee"s theory on brush-and-ink works was affected also by that of the Four Wangs.
  During the period of exile to Bukcheong and the period of retirement in Gwacheon, Kim Jeong-hee"s theory on Emotional sensibility and Figuration was established. Kim Jeong-hee insisted on harmony between Emotional sensibility and Figuration but he was very concerned about cases that Emotional sensibility was not controlled by Figuration. Mainly during the period in Gwacheon, Wa?ng Shi?-zhe?n"s theory on Transcendental elegance came to the fore of Kim Jeonghee"s theory on poetry. It was because the theory was adopted in his Zen-style life. The theory on poetry was also applied to the theory on paintings. Kim Jeonghee formulated the world of paintings of an enchanted land, and his style of stroke at that time was compared with Vajra staff. It was a fluent style free from any existing technique. In addition, though not as definite as the theory on poetry, he introduced a new group of painters including Wa?ng We?i, Ju? Ra?n and Gua?n Xiu? who stood together with the line from Four Wangs to Hua?ng Go?ng-wa?ng. A work that explains the theory on painting is Bulyiseonran. However, the actual formative characteristics are far from comments in the Transcendental elegance theory and, rather, are linked to the beauty of lines observed in Zen-style paintings.
  In this way, Kim Jeong-hee showed the attitude of es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燕行과 귀국
Ⅲ. 제주 유배와 해배
Ⅳ. 북청 유배와 과천 은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권(Kim Hyun-kwon). (2006).秋史 金正喜의 繪畵觀 형성과 변화 - 詩論과의 관계와 淸代 畵論의 수용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 25 , 179-224

MLA

김현권(Kim Hyun-kwon). "秋史 金正喜의 繪畵觀 형성과 변화 - 詩論과의 관계와 淸代 畵論의 수용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 25.(2006): 179-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