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정희 예술론 - 그 지적 기원과 체계에 관하여

이용수 700

영문명
The Art Theory of Gim Jeong-hui (金正喜); on the theoretical origin and system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정예린(Jung Heri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25輯, 93~12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세기 이전 중국과 조선의 문인들에게는 자연으로부터 학문과 윤리, 예술을 포괄하는 총체적인 세계관이 존재했다. 그리고 그들의 예술론은 시, 서, 화가 공유하는 미 이념과 창작론 그리고 이 공유 영역과 학문, 자연의 관계 속에서 성립된다. 물론 그들 모두가 문예론, 서예론, 화론 각 분야에서 우주의 총체성을 이론적으로 드러내지는 않았다. 조선 19세기에서 활동한 金正喜의 예술론은 적어도 20세기 이전 중국과 조선의 최신의 학문 방법과 이론을 절충하여 문예와 회화, 서예 각 장르의 이론에 동일한 이념과 체계를 부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김정희는 예술과 도는 상호 필수적인 관계(文道相須)에 있어야한다고 주장한다. 이 때 그가 말하는 도는 송대 성리학의 관념성을 극복한 선진의도를 내용으로 한다. 그는 당시 청대 고증학 중 揚州學派와 常州學派를 중심으로 한 漢宋折衷論에 관심을 집중하고 先秦 사상에 내재한 義를 예학, 역사학, 지리학, 역학 등의 분야에서 최신의 고증학적 방법론을 통해 탐색하고자 했다. 송대 성리학적 사유방식을 한송절충론을 통해 극복하는 방법론은 예술론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문장론에서 그는 청대 동성파의 방포와 요내가 작가의 인격수양과 학문이라는 창작의 전제조건, 유가적 문풍(風雅)과 교화의 기능 그리고 이러한도를 중심으로 한 언표가능한 영역과 그 너머 도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언표불가능한 영역 간의 조화를 제시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
  김정희의 시론은 신운설과 성령설을 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신운은 언표 가능한 지적 감각적 영역 너머에(言外之意, 味外之味) 있는 시의 중요한 요소로서 명대 王士禎에 의해 부각되었다. 김정희는 신운은 언표가능한 理와 實의 영역과 조화되어야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學詩의 측면에서 명대 왕사정의 신운시와 언표가능한 영역이 명료한 주이존의 시를 보완하여 학습할 것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는 이들 양자를 포함해 왕유와 두보 이하 송, 원, 명의 모범적인 시인들로 구성된 정통시인의 계보를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학습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상의 특징은 청대 시론 중 그가 높이 평가한 翁方剛의 肌理說만이 공유한다. 그런데 실제 시인들에 대한 평가에서 명료히 드러나듯이 김정희는 옹방강보다 언표불가능한 영역을 강력히 옹호했다. 그는 옹방강과 왕사정의 견해를 절충하여 언표불가능한 영역을 지나치게 주목하는 조선의 신운시풍을 보완하고자 한 것이다.
  한편 신운설이 작품의 미에 관한 논의라면 성령설은 예술 고유의 영역과 윤리를 아우르는 작가의 창조력에 관한 논의이다. 김정희는 청대 袁枚의 性靈 개념을 수용하지만 그 윤리적 방만함을 비판하면서 격조로써 성령을 규제할 것을 주장했다. 방만하게 돌출된 개성(鬼怪)은 격조를 통해 미적으로도 세련되고(工) 윤리적으로도 올바르게(正) 순화되야 한다는 것이다. 김정희는 원매의 예술적 재능을 인정하면서도 그 도덕적 방만함 때문에 그를 정통시인의 계보에서 제외했다. 이는 인간의 욕망을 인정하되 禮로써 규제하는 것을 도의 실현으로 파악하는 그의 경학관을 염두에 둘 때 당연한 평가라고 보인다.
  화론에서 김정희는 명대 후기 董其昌의 화론에 기반하여 역시 정통 유가 사대부 예술의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양자는 자신의 시대의 회화가 통속화되는 경향을 저지하고 士人 문화의 정통성을 확립한다는 목표 아래 神 혹은 氣韻과 같은 언표불가능한 영역을 표현하는 寫意, 사의의 필묵법상의 표현방법으로서 서화동필론, 사의를 획득하기까지 학문적 토대 위에 과거의 그림들로부터 법을 획득하고 자연에 대한 체험을 통해 창신을 달성하는 후천적인 학습, 마지막으로 후천적 학습의 축적을 통해 획득한 깨달음(悟) 즉, 사회, 문화, 자연, 예술사에 대한 전면적 통찰력을 공유한다. 그러나 김정희는 동기창의 화론을 그대로 조선 화단에 이식하지 않았다. 동기창은 문인화의 전통이 존재하는 명말 화단에 대해 전통만큼이나 창신에 무게를 두었고, 따라서 창신을 위해 자연 산수를 직접 체험해야한다는 점을 역시 거듭 강조했다. 반면 김정희는 애초 문인화론의 전통이 성립되지 못한 조선의 화단에 대해 창신보다 전통을, 자연에 대한 개인적 체험보다는 전통에 대한 점진적 앎의 노력(格物致知)을 강조했다. 그는 그외 학습의 문제에서 동기창의 이론 위에 후대로부터 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학습법을 더했고, 청대 고증학을 배경으로 동기창보다 작품 감식을 중시했고, 동기창 이후 여러 청대 화가의 그림을 동기창의 관점을 통해 평가하여 동기창의 화론을 시대에 맞추어 부활시켰다.
  서예론에서 그는 조선 후기 첩학과 금석학의

영문 초록

  This essay deals with Gim Jeong-hui"s art theory, whose influence was overwhelming on both the practice and theory of art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century Joseon. He gave a common idea and theoretical system to the literary, painting and calligraphy theories on the traditional thinking that all the natural and cultural phenomena including art are from the One, Dao 道. So I investigated all the three genres of his art theory instead of choosing a certain one as previous studies did.
  Gim insists the art and Dao are interdependent on each other. Here "Dao" means that of pre-Qin 先秦, not of Song"s idealism. He investigated pre- Qin"s yi 義 following the latest trend in Qing"s academy, i.e. so-called eclecticism between Han and Song, combining bibliographical method of Han"s academy and idealistic moralism of Song"s one. Especially he was much concerned about two schools, Yangzhou (揚州) and Changzhou (常州), which were representative of the 19th-century Chinese scholarship. Of course, he also overcame Song"s idealism in art theory.
  Gim Jeong-hui"s poetics can be divided into shenyun and xingling theories. The former means the unmentionable beauty. He thought that xingling should keep harmony with the mentionable such as morality or scholarship, and appraised the Ming poet Wang Shi-zhen 王士禎 to achieve the harmony of the two kinds or areas of beauty above. Gim suggested orthodox lineage of poets consisting of those who distinguished themselves in at least one of the two areas of beauty. Kinds of theses composing Gim"s poetics also exist only in poetics of Weng Fang-kang 翁方剛. However, Gim thought more of the unmentionable area of beauty than Weng did. The end of Gim"s poetics seems to combine Wang and Weng"s theories.
  Xingling, the other important concept of Kim"s poetics, suggested by Yuan Mei 袁枚 of Qing, means the poet"s innate ability which can be acquired thorough the artistic and scholastic training. Gim accepted the significances of xingling, rectifying its moral recklessness through restricting it by gediao 格調, i.e. the style.
  In painting theory, Gim is much influenced by Dong Qi-chang 董其昌 of late Ming. Dong as well as Gim pursued to reinsure the identity of literary painting against the mundane painting. Dong suggested that gaining unmentionable shen 神 (or, chiyun 氣韻) be the purpose of painting, and describing mentionable forms be the method to acquire shen or chiyun, applying the principles of calligraphic techniques to painting techniques, learning the tradition of painting and creating a new one, and reaching enlightenment though efforts. While accepting Dong"s theory, Gim more emphasized the learning tradition than Dong did, and assumed an indifferent attitude on creation which was of great importance to Dong. This difference can be explained by that of the situations of the two: Gim spoke to the painting"s world without a firm literary painting tradition, while Dong did to the one with a firm tradition. Gim applied more theories of Dong to Qing painting world, and enforced bibliographical research on works for painters to learn.
  Gim Jeong-hui also presented the theory of calligraphy, which was more developed than ever in Joseon, His was one of the most systematic theories on principles of calligraphy techniques written on silk or paper. He trusted in the traditional rules of writing in silk or paper, and studied Peiwenzai shuhuapu 佩文齋書畵譜 as well as Ruan Yuan"s 阮元 achievements. Wang Xi-zhi was regarded as Sage of calligraphy by him, regardless of Ruan"s doubt on status of Wang as overestimated. In short, he pursued eclecticism of both tradition unlike Ruan. In actuality, the aesthetic idea he tried to realize is one by artists with refined personality and scholarship who are liberal as in the history of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김정희의 예술관이 근거하는 道
3. 문예론
4. 화론
5. 서예론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예린(Jung Herin). (2006).김정희 예술론 - 그 지적 기원과 체계에 관하여. 대동한문학, 25 , 93-127

MLA

정예린(Jung Herin). "김정희 예술론 - 그 지적 기원과 체계에 관하여." 대동한문학, 25.(2006): 93-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