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曺兢燮의 金澤榮 諸家文評 비판과 그 비평사적 의의

이용수 298

영문명
Cho Keung-sub"s comments on Kim Taek-young"s literary criticism and its meaning in the history of criticism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송혁기(Song Hyok ki)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동양한문학연구 제22집, 155~18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2.28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金澤榮(1850~1927)의 산문비평 언급들은 그간 산문사 연구에 큰 영향을 끼쳐왔다. 본고는 當代의 曺兢燮(1873~1933)이 가한 비판을 통해, 김택영의 우리 산문사 인식 자체를 상대화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특히 조긍섭이 지적한 지점들 각각이 현 단계 산문사 연구에서 석연하게 정리되지 않는 몇 대목과 직접 연관된다는 점에서 재고가 필요하다. 첫째 李穡 이래 조선 전기 산문의 평가 문제이다. 이제현 이후 장유ㆍ이식 이전의 모든 작가를 배제한 김택영의 견해는 독특한 경우에 속하는 것임을 조긍섭의 지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 전기 산문사는 그것대로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고, 한편으로는 왜 조선전기를 산문사의 공백기로까지 치부하는지의 문제를 본격적인 연구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조선 중기 산문사 전변의 실질을 구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擬古派의 존재와 崔?의 산문사적 위상 문제이다. 최립이 전후 칠자와 연관되어 비판적으로 거론된 것은 영향의 실제 여부를 떠나 문체의 유사성을 근거로 후대에 이르러 성립된 것이다. 그가 당송문 일변에서 진한문으로 전범대상을 전이ㆍ확장하는 데 중요한 몫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작법으로서의 ‘의고’ 혐의는 전범대상과는 분리해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최립 당대로서는 오히려 그가 주력한 전범 학습과 수사 단련 자체가 산문이 추구할 수 있는 문예미의 기본으로서 특필되기도 했다. 조긍섭은 최립 산문의 전칠자 연원과 의고성을 지적하면서도 그 나름의 산문적 성취와 산문사적 위상을 제기함으로써, 당송문 편향인 김택영의 작가 선정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셋째 朴趾源 문학에 대한 평가와 古文의 개념 문제이다. 조긍섭이 생각한 古文의 요건은 전통적인 ‘辭理具備’였는데, 이때의 理는 여전히 주자성리학적 세계관 안에 있었으며, 辭가 지나치면 오히려 理를 가리게 되며 그 대표적 경우를 박지원으로 들었다. 반면 김택영은 절묘하고 기발한 辭를 통해 문학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修辭의 측면에서 박지원 산문을 조명하고자 했다. 김택영의 古文觀을 唐宋文이나 明代 唐宋派, 혹은 이전 시기 고문가들의 그것과 비교?대비하여 새롭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Kim Taek-young"s literary criticism has been influenced on the study of prosaic history. This paper aim at the new understanding of his literary criticism by Cho Keung-sub"s comments on him. Especially Cho"s comments have related matters with following some doubtful questions in the study of prosaic history.   First, the standpoint about the estimation of the very former term of Chosun dynasty. Kim excluded almost all writers before Chang Yoo and Lee Sik. Cho admitted Kim"s opinion as an unique thing. Since we may illuminate that period itself, meanwhile we may illuminate that period leaning Kim"s opinion. Second, the group of writers who pursued the pseudoclassical literate style and the position of Choi Lib in the prosaic history. Choi Lib was so meaningful in the field of writing style at that time. Kim only focused on the writers who wrote Tang-Song style literatures while Cho noticed the writers who wrote Qin-Han style literatures. Cho called in questions that kind of Kim;s views. Third, the estimation of Park Ji-won and the classical literate style. Cho put more values on the principles more that the rhetoric, while Kim stood on the opposite position. Cho suggested Park Ji-won as a suitable writer but Kim regarded him as one of novel writers.

목차

국문초록
Ⅰ. 緖言
Ⅱ. 李穡 이래 조선 전기 산문에 대한 평가
Ⅲ. 崔?의 산문사적 위상과 擬古 논란
Ⅳ. 朴趾源 산문에 대한 평가와 古文의 개념
Ⅴ. 結語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혁기(Song Hyok ki). (2006).曺兢燮의 金澤榮 諸家文評 비판과 그 비평사적 의의. 동양한문학연구, 22 , 155-189

MLA

송혁기(Song Hyok ki). "曺兢燮의 金澤榮 諸家文評 비판과 그 비평사적 의의." 동양한문학연구, 22.(2006): 155-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