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原泉 洪祐健 산문론의 주체적 상상력 - 이조 후기 산문론에서 ‘悟’의 문제와 관련하여

이용수 134

영문명
Hong U-Keon"s Subjective Imagination of Prose Theory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김철범(Kim Cheol Beom)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동양한문학연구 제22집, 109~13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2.28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9세기 산문작가인 홍우건의 산문론을 고찰한 것이다. 홍우건은 당대 이름난 문인이었던 홍길주의 아들로 태어나, 19세기 중ㆍ후반기를 살다간 인물이다. 그는 관직에 나아가 벼슬을 살았지만, 憲宗대에 의욕을 보인 것 외에는 정치활동에 그렇게 적극적이지 않았으며, 반면 일생을 독서와 함께 文人으로 살려고 노력했다. 그는 부친 홍길주의 영향을 크게 받아 문학에서도 부친의 문학론을 승계하여 발전시켰다. 특히 사물인식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독서와 관찰을 중시했으며, 창작에서는 ‘悟解’를 강조했다. 본고는 이 ‘悟’의 문제를 중점으로 그의 문학론을 설명코자 했다.   문학론에서 ‘悟’의 문제는 고려 말기부터 간간히 거론되었지만, 본격적으로 산문론에서 거론된 것은 김창협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는 개성주의로서 ‘妙悟’를 강조하였다. 그 이후 조귀명 등에 의해서 ‘解悟’가 주장되었는데, 그것은 문학이 道나 義理로부터 분리되어 작가 주체의 것으로 자리를 잡는 것이었다. 다시 그 이후 홍길주에게서 다시 ‘悟’의 문제가 다루어진 것인데, 그는 작가의 주체적 각성이라는 의미에서 ‘悟’를 강조했던 것이다. 이를 홍우건이 계승하여 발전시켜 역시 ‘悟解’를 강조했던 것인데, 그에게서 이 ‘悟’는 바로 작가의 주체적 상상력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는 18세기 실학과 함께 주체적 반성이 개개 인간의 주체의 발견으로 발전되고, 이러한 주체적 각성이 다시 산문창작과 이론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후 김창희나 이건창 등의 문인들에게서도 계승된 면을 발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considers Hong U-Keon"s prose theory, who was a prose writer in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His father, Hong Gil-Ju, was a famous literary man of those days, and Hong U-Keon, himself also lived as a writer in the middle and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Although he was in the government service, he did not try to be positive about political activities except that he expressed his political desires in King Heon-Jong days. Rather he tried to live as a literary man reading books for his all lifetime.   He was greatly influenced with his father, so later he inherited and developed his father"s literature. Especially, he laid much emphasis on reading and observation for extending knowledge and experience that cognize things and valued ‘Consciousness and Resolution’(悟解) in the part of creative writing. This thesis tries to explain his literature theory by treating the matter, Consciousness, in detail.   There had been some discuss on the matter of ‘consciousness’(悟) in literature theories from the end of Goryeo, we can find, however, that the real issue for prose theory was earnestly considered by Kim Chang-Hyeop, who laid emphasis on "Exquisite consciousness"(妙悟) as Personalism.   After that time, ‘Resolution and Consciousness’(解悟) was claimed by other literary men like Jo Gwi-Myeon. It represented that at last literature was separated with ‘Morality’(道) or ‘Justice’(義理) and was set as writer" subjective thing. Then, ‘consciousness’(悟) was treated by Hong Gil-Ju, who took and emphasized it as writer"s subjective disillusion. And Hong U-Keon also succeeded and developed it, ‘Consciousness and Resolution.’ For him, this ‘Consciousness’ was just to mean writer"s subjective imagination. With the 18th Realism, subjective introspection was developed into each individual" subjective discovery and the subjective disillusion was shown as prose writing and theory once again. Since then, we can find that it was succeeded to writers such as Kim Chang-Hui or Lee Geon-Cha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철범(Kim Cheol Beom). (2006).原泉 洪祐健 산문론의 주체적 상상력 - 이조 후기 산문론에서 ‘悟’의 문제와 관련하여. 동양한문학연구, 22 , 109-135

MLA

김철범(Kim Cheol Beom). "原泉 洪祐健 산문론의 주체적 상상력 - 이조 후기 산문론에서 ‘悟’의 문제와 관련하여." 동양한문학연구, 22.(2006): 109-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