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鮮初 應製 樓亭記의 審美 意識 硏究 -「環翠亭記」를 中心으로-

이용수 179

영문명
The study on the esthetic consciousness of pavilion writing written by royal order in the early of Chosun -Focused on 「Hwanchijeonggi」-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홍성욱(Hong Seong-Uk)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대동한문학 제21집, 161~202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2.0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누정은 본디 휴식을 취하기 위한 용도로 조성된 곳이다. 그러나 중세 사대부들에게 있어 누정은 단순히 자연 경관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며 한가롭게 휴식을 취하는 곳은 결코 아니라고 하겠다. 여기에서 묘사된 자연 경관은 단순한 경치 차원을 넘어 누정 경영자가 심성을 수양하여 사대부로써의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는 동기를 부여하는 대상이며, 자연의 변화 과정과 내재 원리를 통해 세상의 이치를 발견하는 심미 인식의 자료가 되기도 한다. 선초의 응제 누정기문은 조선 왕조 건국 이후 문물제도가 정비되어가고, 국가 운영이 안정적 상황에 접어들자 군주들이 휴식을 취하기 위한 용도로 누정을 지으면서 이를 짓게 된 동기와 누정 경영을 통해 왕이 지녀야 할 치자의 자세 심미 인식 태도 등을 왕의 명을 받은 대각의 신하들이 지은 것이다. 이들은 응제 누정기에서 왕이 경관이 빼어난 곳에 누정을 짓게 된 것은 자기의 功業을 천지 자연이 긍정하였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곧 누정의 건립은 당대가 성대라는 것을 表象하는 것이다. 그러나 응제 누정기를 짓는 문사들은 단순히 누정이 聖代의 儀仗이라는 것은 긍정하고 찬미하는 차원에 머무르지 않는다. 이러한 성한 기운이 후대에도 영원할 수 있도록 왕이 자신을 수양하고 백성을 위해 선정을 베풀 것을 권계한다. 응제 누정기의 대부분이 왕이 자신의 눈에 들어오는 자연 경관을 감상하는 차원을 넘어 이를 德治를 펴는 자료로 삼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에 대해 구체적이든 관념적이든 누정기를 쓴 관각 문인이라면 누구나 이에 대해 언급하는 것도 누정 주변의 경관에 대한 심미 인식 태도가 단순한 경물 감상의 차원을 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들에게 있어 누정은 하나의 소우주이다. 그러므로 왕은 이곳에서 우주의 조화를 보아 살피고, 이를 통해 깨닫게 된 이치를 인간 세계에 실현함으로써 성인의 능사를 완성하여야 한다고 한다. 그 과정에서 자신의 德을 修養하고, 애민 의식을 발양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모범적 누정 경영이 후대의 典範이 되어 지금의 흥성한 時運이 유지보존될 수 있도록 休息과 政事가 적절한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고 한다, 文武弛張之道의 실현을 말하고 與民同樂의 義理를 말한 것도 모두 이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영문 초록

Pavilion was created for the use of rest, but for the literati class in the middle ages, its function was not confined to the place of rest and the appreciation of beautiful natural landscape. Natural landscape described in this gave motive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literati class through cultivating mentality and it was the document of esthetic consciousness which could discover the principles of world through the change of nature and the inherent law of it, going beyond the meaning of landscape itself. The Eungje(應製, literary work written by royal order) pavilion in the early of Chosun was built for the purpose of kings' rest when culture and institutions were well equipped and the operation of a nation entered the stage of stability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Chosun kingdom. The writing of it recorded the attitude of a king as a ruler and esthetic consciousness and its record was written by the subjects who worked for Daegak(臺閣), a writing institution built in accordance with command of a king. According to writers, the construction of pavilion in the most beautiful place means that nature affirms the great achievement of a king. In other words, the establishment of a pavilion indicated the prosperity of an era. However, the literary men of those days didn't confine its meaning in the affirmation and praise of prosperity of a certain era, but they also recommended king to cultivate his mind and rule wisely for the whole nation in order to keep prosperit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refore, most writings of Eungje Pavilion emphasized that king accepted this landscape as a basis of wise rule, through going beyond the appreciation of a nature. Whether pavilion's meaning is substantial or ideal, any relevant writer suggested that esthetic consciousness in regard to the surrounding landscape of a pavilion transcends the appreciation dimension of natural features. For them. pavilion was the microcosmos. From their perspective, king should complete his work through accommodating himself to the harmony of universe and realizing its law in this world. In the process of ruling, king can cultivate his virtue and display love for his people. According to them, the adminstration of exemplary pavilion can be the precedent model of next generation, and prosperous atmosphere of a certain era can be maintained and preserved in harmony with rest and political affairs. The discourse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appropriate tension and relax in the political reign which was performed in the time of kings Mun and Mu respectively in the Chou dynasty of China and morality of "Enjoying together with people," can be said to have been originated from the consciousness of a pavilion.

목차

국문초록
1. 서 론
2. 누정기의 구조와 내용상 특징
3. 鮮初 時運論의 展開와 館閣 文學의 發達
4. 응제 누정기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심미 의식
5. 결 론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성욱(Hong Seong-Uk). (2004).鮮初 應製 樓亭記의 審美 意識 硏究 -「環翠亭記」를 中心으로-. 대동한문학, 21 , 161-202

MLA

홍성욱(Hong Seong-Uk). "鮮初 應製 樓亭記의 審美 意識 硏究 -「環翠亭記」를 中心으로-." 대동한문학, 21.(2004): 161-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