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권상실기 부산ㆍ경남 저항시 연구
이용수 26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Resistance Poetry of Busan & Gyungnam Are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김경복(Kim Kyung-Bok)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36집, 165~18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4.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resistance poetry against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20th century is to examine how literary people as Korean intellectuals coped with the actualities of life and the problem of the achievement of positive modernity.
Also, when observing this, looking particularly at local literature, it is expected to make it possible to foresee how to confront the 21st century national actuality as well as to study historical upheavals. As a result of studying historical developments in Busan and Gyoungnam Area resistance poetry with awareness of the above, it was found that resistance poetry appears to show different traits over the course of time.
First of al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written with themes which would inspire national consciousness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spiring to independence, demonstrating the impoverished reality of life, resistance consciousness and the class struggle. Authors include Yun-jae Lee, Won-su Lee, Byoung-ho Kim, Hwan Kwon, Pung-san Son, Woo-jung Yang, Yong-ho Kim and other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changes over time in Busan and Gyoungnam resistance poetry, while highligting the different struggles of changing times, have given a voice to our common desire for liberty and equality and precious wish for democrat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국권상실기 부산.경남 저항시 양상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북한 문화이질화 현상과 문화통합의 실천적 과제
- 西浦 金萬重의 辭이론과 文彩이론의 비교 연구
- 국권상실기 부산ㆍ경남 저항시 연구
- 부산ㆍ경남지역 저항소설 연구
- 燕岩小說에 나타난 작가 의식의 二重性과 그 意味
- <두홍젼> 연구
- 거창민간인학살사건과 증언시의 논리
- 북한 근ㆍ현대문학사 기술 체계와 분단극복을 위한 문학적 실천
- 현대 소설에 나타난 ‘간음’ 속죄의 양상 - <재생> <종각> <에덴의 후원>을 중심으로 -
- 전후비평의 타자화와 폐쇄적 권력지향성 - 1960~70년대 ‘문학과지성’ 에콜을 중심으로 -
- 탈식민주의 문화전략과 패러디의 상관성 연구
- 북한의 사회주의적 민족문화 건설과 ‘우리 식’ 고전문학
- 당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수용자의 취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