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scription System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and Literary Practice for the Conquest of the Division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손진은(Sohn Jin-Eun)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36집, 53~8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4.0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thesis aims at studying the description system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in our perspective and the union oriented spirit represented in South & North Korean literary works, and presenting the way for the conquest of the division.
I studi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on the basis of five kinds of related books. These classifications are founded in the juch'e ideology literary theory. So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Book's general estimation to literature was not literary excellency, but juch'e ideology till the beginning of 1980s. But Literary History Books published in the middle of 1980s, show change in selection of literary works. For example, they include the works of burgeois literature, patriotic literature, and realistic novels. And Literary History Books published in the middle of 1990s, they include the writers of KAPF and national literature. It represents that they place the inner constituents the first factor in the estimation of literary works.
North Korean writers also pulling themselves out of ideological tendency gradually, show the qualitive change and view's extens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the novels as Hwang, Seok-young's 'A Visitor'(손님) and Kim, Nam-ho's 'Meeting'(만남) using other side's characters, ideology and spaces, we can identify that South & North Korean literary works have features to seek national homogeneit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북한 문학사 기술의 체계와 양상
Ⅲ. 민족 동질성 확보를 위한 문학적 실천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북한 문화이질화 현상과 문화통합의 실천적 과제
- 西浦 金萬重의 辭이론과 文彩이론의 비교 연구
- 국권상실기 부산ㆍ경남 저항시 연구
- 부산ㆍ경남지역 저항소설 연구
- 燕岩小說에 나타난 작가 의식의 二重性과 그 意味
- <두홍젼> 연구
- 거창민간인학살사건과 증언시의 논리
- 북한 근ㆍ현대문학사 기술 체계와 분단극복을 위한 문학적 실천
- 현대 소설에 나타난 ‘간음’ 속죄의 양상 - <재생> <종각> <에덴의 후원>을 중심으로 -
- 전후비평의 타자화와 폐쇄적 권력지향성 - 1960~70년대 ‘문학과지성’ 에콜을 중심으로 -
- 탈식민주의 문화전략과 패러디의 상관성 연구
- 북한의 사회주의적 민족문화 건설과 ‘우리 식’ 고전문학
- 당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수용자의 취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