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사회주의적 민족문화 건설과 ‘우리 식’ 고전문학
이용수 208
- 영문명
-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Culture and 'Our Way(woorishik)' of Classical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전영선(Jeon Young-Sun)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36집, 25~5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4.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eing formulated under the KWP(Korean Workers' Party)'s initiative, the cultural policy in North Korea has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and specific situations. The classical literature in North Korea aims not to analyse the meanings of the classics themselves, but to fi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namely to meet a purpose of educating the people at the times of Juche. According to this rule, North Korean classics have been construed in 'our way,' which revises the problems of the classical novels. The adapt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of North Korea has been based on the Party's literary ideology, having an intention to expose the contradictions and irrationality of the old exploitative hierarchy system and to emboss the values of labor by expressing the worker's consciousness. In case of the class issues, especially, it emphasizes the humanity of the lower class people and expressly discloses the contradictoriness of social stratification based on the economic wealth, by dealing with the issue of class conflicts at the level of the entire society rather than individuals. Observing the classic literature of North Korea exists in 'our way,'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cultural policies of North Korea and the principles of creation and acceptance of national cultural inheritance.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followings as important points to be attended to understand North Korea's literature and art. First, any discussions on the culture of South and North Koreas should be preceded by securing homogeneity of concept and language between the two. Second, studies on the literature and culture of North Korea should be based on understanding of socio-political situations in North Korea. Third, the North Korean literature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undamental rather than a sub-category of the North Korean culture. Fourth, studies on the classic literature of North Korea should be backed up by correct re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북한 문화의 정체성과 변화요인
Ⅲ. 사회주의적 민족문화 건설을 위한 민족문화 유산 수용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북한 문화이질화 현상과 문화통합의 실천적 과제
- 西浦 金萬重의 辭이론과 文彩이론의 비교 연구
- 국권상실기 부산ㆍ경남 저항시 연구
- 부산ㆍ경남지역 저항소설 연구
- 燕岩小說에 나타난 작가 의식의 二重性과 그 意味
- <두홍젼> 연구
- 거창민간인학살사건과 증언시의 논리
- 북한 근ㆍ현대문학사 기술 체계와 분단극복을 위한 문학적 실천
- 현대 소설에 나타난 ‘간음’ 속죄의 양상 - <재생> <종각> <에덴의 후원>을 중심으로 -
- 전후비평의 타자화와 폐쇄적 권력지향성 - 1960~70년대 ‘문학과지성’ 에콜을 중심으로 -
- 탈식민주의 문화전략과 패러디의 상관성 연구
- 북한의 사회주의적 민족문화 건설과 ‘우리 식’ 고전문학
- 당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수용자의 취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