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sistant Novels in Pusan and Kyeongnam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정찬영(Jeong Chan-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36집, 217~24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4.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 chronological study that examines resistant novels as the view of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popular spirit in Pusan and Kyeongnam province. Therefore, the Resistant novels are what are described the national and the popular conflicts and their resistances, which had been in our Korean modern history.
In the colonial period, they were describing the colonial capitalistic conflicts through the anti-Japanese spirit, the abolition of the conventional rank-system, and complaints and resistances against the Japanese exploitative systems all over the country.
After the 1945 Liberation, there had been many works, which were novelized the Japanese compulsory conscription of Korean student-soldiers in the closing days of the colonial period, and their denial of the conscription and then the armed struggle against Japan.
From the 1945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there were many Resistant novels that described conflicts of establishing the nation-state, the October-struggle and its social background, and the violence and the massacre of innocent people during the Korean War.
After 1960s, Resistant novels have been describing the 3?15 patriotic movement in Masan, the 6?3 Resistance, the Korean comfort girls and their wounded hearts, mysterious deaths of the patriotic people, labor problems, long-term prisoners, and problems of our environment.
목차
Ⅰ. 한국 근현대문학과 부산.경남의 저항소설
Ⅱ. 일제 강점기의 형상화
Ⅲ. 해방공간과 한국전쟁의 형상화
Ⅳ. 반민주주의에 대한 투쟁
Ⅴ. 사회운동의 성장과 저항문학의 다양성
Ⅵ. 부산.경남 저항소설의 의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북한 문화이질화 현상과 문화통합의 실천적 과제
- 西浦 金萬重의 辭이론과 文彩이론의 비교 연구
- 국권상실기 부산ㆍ경남 저항시 연구
- 부산ㆍ경남지역 저항소설 연구
- 燕岩小說에 나타난 작가 의식의 二重性과 그 意味
- <두홍젼> 연구
- 거창민간인학살사건과 증언시의 논리
- 북한 근ㆍ현대문학사 기술 체계와 분단극복을 위한 문학적 실천
- 현대 소설에 나타난 ‘간음’ 속죄의 양상 - <재생> <종각> <에덴의 후원>을 중심으로 -
- 전후비평의 타자화와 폐쇄적 권력지향성 - 1960~70년대 ‘문학과지성’ 에콜을 중심으로 -
- 탈식민주의 문화전략과 패러디의 상관성 연구
- 북한의 사회주의적 민족문화 건설과 ‘우리 식’ 고전문학
- 당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수용자의 취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