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한문 교체기의 언어생활과 문학활동

이용수 424

영문명
Linguistic Life and Literature Activities at the Shifting Period betwee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주승택(Ju Seung-tae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대동한문학 제20집, 287~31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0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문학사에서 한국한문학의 하한선이 어디까지인가를 밝히기 위하여 쓰여진 것이다. 이미 <한국한문학의 變異양상>이라는 논문을 통하여 漢詩가 近代詩로 교체되는 과정을 고찰한 필자는 이번에는 漢文(散文)이 국한문혼용체와 순국문체로 대체되는 과정을 고찰하여 보았다. 연구의 대상으로 선택한 자료는 당시의 신문인데 『한성순보』에서는 순한문을 선택했던 당시의 개화파 지식인들이 『한성주보』에서는 한문과 함께 국한문체, 순국문체를 동시에 선택함으로써 변화의 필요성을 처음으로 제기하였다. 그런데 『한성주보』가 한문에 익숙한 관료층을 대상으로 발행된 신문임을 감안한다면 국한문체나 순국문체의 선택은 독자들의 편의를 감안한 것이 아니라 이데올로기적 측면이 강함을 확인하였다. 한문산문이 국한문체로 교체되는 과정에서 또 하나 문제되는 것은 바로 문학성의 문제이다. 한문학에서 시와 달리 산문은 문학성을 뒷받침해 줄 만한 형식적인 요소가 별로 없다. 한시가 한문산문보다 오랜 생명을 지닌 것은 한시의 문학성을 대체할 만한 국문시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한시는 자유시가 등장하는 1920년대 중반까지 각종 언론매체의 <사조>란을 통하여 활발한 창작과 유통이 이루어졌다. 이에 비하여 한문산문은 문학과 비문학의 경계선이 모호하다. 이것은 그 만큼 문학의 영역이 넓었다는 뜻인데 『孟子』, 『莊子』, 『史記』, 『三國史記』에서 보듯이 사상이나 역사를 기술하는 글도 문학적 글쓰기에 성공하면 훌륭한 문학작품으로 간주되었다. 그런데 국한문혼용체나 순국문체는 한문산문의 이같은 기능(문학성)을 제대로 계승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소설과 같이 문학적 형식이 확고한 장르에서는 국한문혼용체나 순국문체도 문학작품의 표현매체가 될 수 있었으나 논설문이나 기사문 같은 문체에서는 문학의 영역을 벗어나 실용문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결국 국한문혼용체나 순국문체는 과거 한문산문으로 표현되던 폭넓은 영역가운데 실용문으로서의 영역만을 계승하는데 그쳤다. 한문산문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 가운데 실용적 기능은 효과적으로 계승했으나 한문산문의 문학적 기능을 계승하는데는 실패하였던 것이다. 초창기에 국한문 혼용체로 한문산문의 문학적 기능을 계승하려고 노력한 흔적은 『시사총보』의 논설란을 통하여 확인해 볼 수 있다. 장지연이 집필한 것으로 믿어지는 이 『시사총보』의 논설란을 국한문혼용체를 문학적 문체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그 결과는 실패한 것으로 파악된다. 결국 이 같은 노력이 실패함으로써 한문산문의 폭넓은 문학적 표현영역은 사라지고 소설이라는 좁은 영역에서 국한문혼용체나 순국문체가 문학적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what(to what extent) the under limit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is. The author alrea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Chinese poetry being replacing into modern one through a thesis entitled “A modifying aspect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this time would look into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prose) being alternated with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nd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The material selected as the object of study was newspaper published at that time, and the reformists-intellectuals, who had chosen only a pure Chinese characters in 『Han-sung-sun-bo』(newspaper), proposed the necessity of a change for the first time by selecting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nd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with Chinese characters in 『Han-sung-ju-bo』 at the same time. However, when considering that 『Han-sung-ju-bo』 was the newspaper aimed at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accustomed to using Chinese characters, it’s found that the choice of the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the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has an aspect of no considering readers’ convenience, showing an ideological aspect. In th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being replaced into the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 problem is the one of the very literary property. In Chinese characters, prose writings, unlike poems, have little formal elements worth supporting literary property. The reason that Chinese poetry has a litter stronger hold on life than that of Chinese characters is because there was no Korean literary poetry worth alternating with literary property of Chinese poetry. Therefore, Chinese poetry had became made lively in creative writing and its distribution through the columns of all kinds of mass media till the middle 1920's when free-styled poems appeared, while Chinese character was vague in the boundary line between literature and non-literature. It means that the domain of literature was broad to that extent, and as you can see from the cases of 『Maeg-ja』- the Works of Mencius, 『Jang-ja』- the Works of Chuangtzu, 『Sa-gi』, 『Sam-kuk-sa-gi』, the writings about thought or history also, if they are successful in literary writing, were considered as excellent works of literature. However,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did not succeed to this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 As a result, in a genre like novel in which a literal form is fixed,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also could be an expressive media for a literary work, but in a literary style such as an editorial sentence or an article, it was degraded to a practical sentence out of the domain of literature. After all,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remained at only succeeding to its domain as a practical sentence among earlier broad domains of expression with Chinese characters. That is, it succeeded to the practical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 effectively, but failed in succeeding to the literary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 A trace of efforts to succeed to the literary function of Chinese characters with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editorial column of 『Si-sa-chong-bo』. Even though various attempts were made to make use of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f the editorial column in 『Si-sa-chong-bo』, which is believed to be written by Jang Ji-Yeon, as a literary style. Finally, with the failure of these efforts, broad literary expressive domains of Chinese characters disappeared and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a style of writing pure Korean characters peformed a

목차

국문초록
1. 序 言
2. 『漢城周報』의 문체선택과 그 문학사적 의미
3. 국한문혼용체의 문학사적 위상
4. 結論을 대신하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승택(Ju Seung-taeg). (2004).국한문 교체기의 언어생활과 문학활동. 대동한문학, 20 , 287-311

MLA

주승택(Ju Seung-taeg). "국한문 교체기의 언어생활과 문학활동." 대동한문학, 20.(2004): 287-3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