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문 문체 분류의 전개양상

이용수 763

영문명
Developmental Aspect and Meaning of Classification of Literary Style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종철(Kim Jong-cheol)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대동한문학 제20집, 37~5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0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獨斷> <典論論文> <文賦> 등과 같은 문체 분류 초기 자료들은 아직 일정한 분류체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한정된 특정 문체들에 대하여 설명하는 논설형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문장류별론』을 거치면서 『문심조룡』과 『문선』에 이르게 되면 특정 문체들에 대한 논설과 함께 문체 분류의 체계성을 갖춘 저서형과 시문선집 형태의 문체 분류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자료들의 분류체계는 하위분류에 중점을 둔 層次 분류체계를 취하고 있다. 이들의 층차분류 형태는 1차로 문체를 나누고 2차로 子目 층차분류하고 3차로 선발된 시문을 수록하는 분류 방법이 특징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들에서는 동일한 문예적 성격을 지닌 작품들만을 대상으로 분류하는 개성적 문체 분류 방법 또한 처음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체 분류체계는 『문장변체』와 『문체명변』에 의하여 총체적으로 정리 제시된다. 이들 다음으로 18, 19세기의 자료들에서는 특정 문체에 대하여 논설하고, 분류하며, 그 아래로 시문 또한 선집하여 수록하는 총집형 형태가 나타난다. 대표적 자료에 해당하는 『古文辭類纂』 『經史百家雜초』 『涵芬樓古今文초』등은 기본적으로 1차로 문체를 제시하고, 2차로 子目 층차분류하고, 3차로 선발된 시문을 싣는 이전 자료들의 중심 분류체계인 하위분류체계를 기본으로 취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들의 특징은 체재와 주제의 유사성을 가진 문체들을 묶어 “論辨類“와 같은 방법으로 상위분류하거나, 문체들을 주제나 용도 체재의 유사성을 근거로 하는 큰 갈래로 묶어 著述門, 告語門, 記載文과 같은 門분류의 상위단계를 본격적으로 설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한문 문체 분류체계는 평면적인 서술형-子目, 項과 같은 하위분류 체계를 설정한 저서형과 시문선집형-하위 분류체계를 기본으로 하면서 類, 門과 같은 현대적 장르 개념의 상위분류체계를 제시한 총집형의 형태로 전개되었다.

영문 초록

Embryonic data of classification of literary style in the ancient times like , , , etc. did not yet form the system of fixed classification and was mostly the editorial type that enumerated literary style simply. Classification of literary style of writing type and garland type represented by 『Mun Sim Jo Ryong』, 『Mun Sun』 in the middle ages, that its turning point was 『Mun Jang Bun Ryu Non』, has appeared and such a classification was mainly the system of stratified classification focused on sub-classification. Its stratified classification also suggested classification of literary style with a personality that consisted of firstly, classification of literary style, secondly, stratified classification, thirdly, selection of prose and poetry. Such a classification was fixed as a standard in the middle ages and was arranged totally by 『Mun Jang Byun Che』, 『Mun Che Myoung Byun』. 『Go Mun Sa Ryu Chan』, 『Kyoung Sa Baek Ga Jab Cho』, 『Ham Bun Ru Go Gium Min Cho』, etc. as typical data of classification of literary style in the 18th, 19th century maintained the standard system of stratified classification in the middle ages basically, then classified from the top as a way of “Non Byun Ryu” to compile writings with similar format and subject arranged by 『Mun Jang Jung Jong』, 『Mun Sim Jo Ryong』 formerly, or set higher level of Mun(門) classification like Jeo Sul Mun, Go Eo Mun, Gi Jae Mun to compile literary styles based on similar subject and use. It was a characteristic of classification of literary style in that time that modern system of classification from the top spreaded.

목차

국문초록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철(Kim Jong-cheol). (2004).한문 문체 분류의 전개양상. 대동한문학, 20 , 37-55

MLA

김종철(Kim Jong-cheol). "한문 문체 분류의 전개양상." 대동한문학, 20.(2004): 37-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