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三國ㆍ南北國 시대의 언어생활과 문학활동

이용수 1274

영문명
A Study on the Linguistic Life and Literary Activities in the Three-Kingdoms Period and South-North States Period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장원철(Jang Won-cheol)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대동한문학 제20집, 93~12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0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흔히 이야기되듯이 한국의 언어문화에 있어서 한자와 한문은 버리고 싶지만 버릴 수 없는 유산으로서 일종의 빛과 그림자와 같은 존재이다. 기원전 3세기를 전후해서 한반도에 수용된 이후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거의 전시대에 걸쳐 유일한 표기체계로 군림했던 한자ㆍ한문이 한국의 문화 전반, 특히 언어생활과 문학활동에 끼쳤던 영향과 의의를 분석하고 해명하는 일은 우리 학계에 주어진 영원하고도 숙명적인 과제이다. 더욱이 지금부터 5세기 반쯤 전에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등장한 이후에도 여전히 다원적 상태로 전개되었던 전통시대의 언어생활, 특히 문학 분야에서 국어문학과 한문문학의 기본적인 관계와 상호 영향에 대해 이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수많은 논쟁은 문제의 복잡성과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렇듯 복합적인 성격의 문제에 대해 근대 이후의 민족의식의 산물인 ‘국어(國語)’를 대립시키는 동시에 한자ㆍ한문을 단지 외래의 표기체계로 규정하여 그 의의를 평가절하하려는 시도는 오늘날에 와서는 타당성과 설득력이 부족해 보인다. 따라서 앞으로 이 문제에 대한 논의의 방향은 한국어와 한자ㆍ한문이 맺었던 관련 양상에 대해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국어문학과 한문문학이 지녔던 관계와 그와 관련된 여러 조건을 면밀하게 고려한 위에서 분석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삼국ㆍ남북국 시대의 언어생활과 문학활동’이라는 전체 주제를 ‘삼국ㆍ남북국 시대 한국어의 양상과 한자ㆍ한문의 수용’, 그리고 이 시기 국어학사의 가장 커다란 주제이자 향가(鄕歌) 문학과 일정한 관련을 지니는 ‘이두(吏讀)의 발달과 민족어문학의 성장’, 그리고 마지막으로 민족어문학으로서의 향가와 공존ㆍ경쟁하면서 이 시기 중세문화의 상징으로 군림하였던 동아시아 공동문어문학으로서의 한시문학의 전개 양상과 그 국제적 네트워크의 성립이라는 부분적 문제 등으로 나누어 개략적으로 고찰하였다. 기원전 3세기를 전후하여 한반도에 수용된 것으로 보이는 한자와 한문은 이후로 삼국시대를 거치면서 중국의 선진문명을 받아들이는 매개 수단으로서 뿐만이 아니라 삼국(三國)의 언어생활과 문학활동의 방면에서 중심적 표기체계로 자리 잡게 된다. 초기에 서사적 기능 위주로 외교문서나 금석문 따위의 공적인 방면에 활용되던 한자ㆍ한문의 역할은 남북국(南北國) 시대로 접어들면서 더욱 다양하게 전개되기 시작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우선 언어생활에 있어서 고대한국어에 영향을 끼쳐 이두(吏讀)라는 새로운 표기체계를 만들어 내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향가라는 민족어문학의 탄생을 가져왔다. 한편으로 문학 방면에 있어서도 민족어문학과 공존ㆍ경쟁관계에 있던 공동문어문학인 한시문학 역시 일본 쪽의 문헌에 남아있는 백제와 발해(渤海)의 한시문학, 그리고 보다 자생적인 맥락 속에서 발전을 이루면서 빈공제자(賓貢諸子)와 최치원(崔致遠)의 문학에서 절정에 이르는 신라의 한시문학의 전개에서 보듯이 이 시기를 대표하는 문학 갈래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영문 초록

As commonly told,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writing are a legacy that cannot be renounced in Korean linguistic culture even though Koreans always want to renounce it.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writing had been used as the only writing system since they had been introduced into Korean peninsula around 300 B.C. and it is our permanent and essential task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effect that they had on the whole Korean culture and history, especially on the linguistic life and literary activities. Furthermore, since a writing system named Hangeul appeared in the mid-fifteenth century, the fact that there have been lots of disputes of how the basic relations and mutual effects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are evaluated shows the complexity and seriousness of this problem. But, with regard to the problem of complicated character, it is not desirable to have the Korean language, a product of nationalism after the modern age, opposed to Chinese character and to devaluate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writing by defining them as only foreign writing system in the Korean culture. Accordingly, from now onward, it will be necessary to analyze and study this problem, exactly understanding the rela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Korean language had with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writing an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undamental conditions of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n this paper, I roughly examined the whole subject named 'the linguistic life and literary activities of the Three-Kingdoms period and the South-North States period' by classifying into 'the aspect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writing during the Three-Kingdoms period and the South- North States period' and 'the development of Idu(吏讀), the greatest subjec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in this period, that has certain influential relations with Hyangga(鄕歌) literature and growth of national literature' and ‘development aspect of Chinese poem literature as a lingua franca literature of East Asia that dominated as a symbol of culture of the Middle Ages during this period competing with Hyangga, a national language literature, and its international network.'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writing which seem to have been introduced around 300 B.C., became not only means to accept ancient Chinese civilization but also a typical writing system in linguistic life and literary activities of three kingdoms. In the beginning,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writing were utilized in official line such as a diplomatic note or an inscription on a stone monument, but entering the South-North States period, their role began to variously develop and extend. First of all,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writing had an effect on ancient Korean language and made a new writing system named Idu(吏讀), resulting in creation of national language literature named Hyangga. In the meantime, in a literature branch, Chinese poem literature which is lingua franca literature and which coexist and compete with national language literature played an leading role as part of literature, as showed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poem literature of the kingdom of Baekje(百濟) and the kingdom of Balhae(渤海) and of Chinese poem literature that, developing under more voluntary background, was at its full glory in Bingongjeja(賓貢諸子) and Choi Chiwon(崔致遠)'s literature in the kingdom of Silla(新羅).

목차

국문초록
1. 서 론
2. 삼국ㆍ남북국 시대 한국어의 양상과 한자ㆍ한문의 수용
3. 吏讀의 발달과 민족어문학의 성장
4. 동아시아 한자문화권과 한시 네트워크의 성립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원철(Jang Won-cheol). (2004).三國ㆍ南北國 시대의 언어생활과 문학활동. 대동한문학, 20 , 93-121

MLA

장원철(Jang Won-cheol). "三國ㆍ南北國 시대의 언어생활과 문학활동." 대동한문학, 20.(2004): 93-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