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들뢰즈 혹은 암호 해독가 : 바로크와『성 테레사의 희열』
이용수 353
- 영문명
- Deleuze, or the Cryptographer : the Baroque and The Ecstasy of St. Teresa.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저자명
- 정재식(Jaesik Chung)
- 간행물 정보
- 『비평과 이론』제10권 제2호, 95~11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baroque is one of the richest and most complex concepts of art and philosophy, exquisitely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art and thought of the 17th century and that of the modern era. In the variegated history of baroque discourse, Deleuze develop a unique concept of the baroque, that is, the baroque of immanence, in stark contrast to the Christian baroque, or the baroque of transcendence. In his The Fold: Leibniz and the Baroque, however, Deleuze often promotes his original notion of the baroque without sufficient comparison to the theological baroque, resulting in a difficulty discerning where the Deleuzian baroque should be located in the history of the discourse. In this paper, I will define the Deluzian baroque as the baroque of immanence and comparatively analyze its originality and significance in light of Christian baroque scholarship.
I shall argue that, although the two concepts of the baroque tackle the problem of infinity, they employ very different definitions of infinity and its modes of encounter. The Christian baroque defines infinity as the divinity of Christ, and seeks to inspire works of art and thought based on the images and the narratives of the Passion. To the contrary, Deleuze attempts to philosophize and poeticize the infinity of life without supposing a transcendent existence beyond the world of the here and now. Unlike the Christian baroque artists and thinkers who are absorbed in aestheticizing and philosophizing the tears (teardrops) of the guilty subject who encounters the divinity of the sacred and the tears (ruptures) between "the celestial and the mundane" and "the soul and the body," Deleuze, like a master cryptographer,
attempts to decipher and furthermore poetize the mystery of infinity in our life by creating the thought of the folds as a magical vinculum connecting body and soul. It is crucial to note here that the Deleuzian folds do not simply refer to solid material but to an event of infinite inflection and differentiation.
The main feature of the Deleuzian baroque is clearly manifested in his discussion of The Ecstasy of St. Teresa by Bernini, the height of baroque art. Deleuze focuses on the vertiginous flow of intensity magnificently traversing the infinite folds vibrating between St. Teresa's body and clothing, instead of the expression of jouissance on her face, which embodies the narrative of the Passion and martyrdom. Ultimately, the Deleuzian baroque becomes a principle which beautifully expresses the vital resonances and rhythms of infinity breathing in our life. That, as we shall see, is the core of the baroque of immanence.
목차
Ⅰ. 바로크의 매혹을 향유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들
Ⅱ. 신학적 바로크: Tears (눈물/찢어짐)와 그리스도의 수난(Passion)
Ⅲ.『성 테레사의 희열』읽기:눈물/찢어짐 그리고 주름
Ⅳ. 얼굴에서 텍스추어(Texture)로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들뢰즈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 유목주의와 자율주의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제기
- 오길영 교수의「들뢰즈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에 대한 반론
- 기표의 물질성과 메타포-라캉의 의미론 다시 읽기
- 리파떼르의 구조문체론과 텍스트 생산 이론
- 베르그송, 들뢰즈 그리고 베케트 문학의 '잠재태'(the Virtual) 혹은 '순수과거'의 시간
- 조정환 선생의 논평에 대한 반론
- 젠더와 장르 :『분별과 감수성』에서의 규범적 여성의 의미
- Deconstruction as a Way of Reading Literary Text and Reading Faulkner's Absalom, Absalom! as an Example
- 들뢰즈에게 어떤 윤리를 기대할 수 있는가?
- 미학과 윤리학의 문제적 구조 : 상호 관계의 재조망
- 들뢰즈 혹은 암호 해독가 : 바로크와『성 테레사의 희열』
- Baudelaire's Symbolism and Commodity Fetishism
- 들뢰즈와 '존재의 일의성'
- 텍스트의 이면 : 문학의 토대에 대하여
- Foucault, Discourse, and the Technology of Power
- <투고 안내> 외
- 들뢰즈의 소수정치와 네그리의 삶정치
- 사이드 이후의 탈식민주의 동향 : 전유의 부메랑
- 들뢰즈의 언어와 문학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