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의 이면 : 문학의 토대에 대하여
이용수 255
- 영문명
- The Underside of the Text : On the "Base" of Literary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저자명
- 윤혜준(Hye-Joon Yoon)
- 간행물 정보
- 『비평과 이론』제10권 제2호, 225~2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text still matters for us not so much because of its putative pleasure or ecstasy as because of the need to keep literary studies balanced against the extremes of the post-structuralist notions of open textuality (currently articulated as the reciprocal fraternity of intertextuality) and of the older New-Critical postulation of the literary work of art as an organic whole. We emphasize the underside of the text?its negative, less wholesome, less seemly, and therefore, less openly acknowledged features-to place the text where it belongs, namely at the indispensable “base” of literary studies. The text may promise pleasure but it is often too cold, silent, and soundless, for its pale notation of lived experience teases as much as it soothes. The text brings suffering and pain, before it can be delight, for at the most basic level of material production, such as copying and copy-editing, as witness Swift's Stella or Melville's Bartleby, the text entails mentally demeaning repetitious labor that cannot be glazed with flattering theorizations of the act of writing and its end product. The text also kills, as St Paul warns and as Hardy's Jude illustrates: its severed body triggers and torments the desiring subject, for the text differentiates and discriminates, fortifying, if not creating, social barriers that bar and restrict human possibilities. Given such "underside" of the text, the text should neither supplant the place of the transcendental signifier(s) to become itself an "attractive fetish," nor should it be glossed over in different pre-programmed allegorizations. Precisely because the "letter killeth," the letter cannot be left alone but analyzed as a material physical force. The text should be put at the "base," not simply because there is nothing beyond the text, but because only then can we hope for redemption in the "spirit."
목차
바르트
브룩스
바틀비
쥬드
바울
인용문헌
Abstra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들뢰즈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 유목주의와 자율주의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제기
- 오길영 교수의「들뢰즈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에 대한 반론
- 기표의 물질성과 메타포-라캉의 의미론 다시 읽기
- 리파떼르의 구조문체론과 텍스트 생산 이론
- 베르그송, 들뢰즈 그리고 베케트 문학의 '잠재태'(the Virtual) 혹은 '순수과거'의 시간
- 조정환 선생의 논평에 대한 반론
- 젠더와 장르 :『분별과 감수성』에서의 규범적 여성의 의미
- Deconstruction as a Way of Reading Literary Text and Reading Faulkner's Absalom, Absalom! as an Example
- 들뢰즈에게 어떤 윤리를 기대할 수 있는가?
- 미학과 윤리학의 문제적 구조 : 상호 관계의 재조망
- 들뢰즈 혹은 암호 해독가 : 바로크와『성 테레사의 희열』
- Baudelaire's Symbolism and Commodity Fetishism
- 들뢰즈와 '존재의 일의성'
- 텍스트의 이면 : 문학의 토대에 대하여
- Foucault, Discourse, and the Technology of Power
- <투고 안내> 외
- 들뢰즈의 소수정치와 네그리의 삶정치
- 사이드 이후의 탈식민주의 동향 : 전유의 부메랑
- 들뢰즈의 언어와 문학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