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리파떼르의 구조문체론과 텍스트 생산 이론
이용수 154
- 영문명
- Riffaterre's Theory on the Structural Stylistics and the Text Production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저자명
- 엄성원(Sung-won Um)
- 간행물 정보
- 『비평과 이론』제10권 제2호, 207~22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Riffaterre's theory on the 'text production' is a kind of theory of poetic semiotics. He wanted to sketch out in a 1971 paper, Essais de stylistique structurale, on what makes a literary sentence literary. He had concentrated upon the surface structures of poetic discourse, upon what the reader recognizes and identifies as styles. And in the 1978 paper, Semiotics of Poetry, he began focussing on the reader and intertextuality.
This essay intends to examine the semiotical characteristics in the Riffaterre's Theory on the 'poetic text production' in a 1983 paper, Text Production. Through this study, I will illustrate how his poetic discourse is reacting against the other theories in a synchronic and diachronic perspective. By clarifying the text production theory, the attitude of cognition about poems and intention of poetic vision in his essay, I will look into the continuity and variation in his semiotical theory.
The text production as a main topic in this study is the key concept to understand the poetry which is presented in various style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is theory, which is based on the concept of double-sided production that contains aspects of words and tropology. Especially, the tropology as one topic is a textual marker to reveal the cognition and its esthetic reaction of poetic text.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적 검토:구조문체론
Ⅲ. 어휘의 차원:신조어의 시학
Ⅳ. 비유의 차원:초현실주의 시의 확장 은유
Ⅴ. 시의 의미론
Ⅵ. 결 론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들뢰즈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 유목주의와 자율주의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제기
- 오길영 교수의「들뢰즈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에 대한 반론
- 기표의 물질성과 메타포-라캉의 의미론 다시 읽기
- 리파떼르의 구조문체론과 텍스트 생산 이론
- 베르그송, 들뢰즈 그리고 베케트 문학의 '잠재태'(the Virtual) 혹은 '순수과거'의 시간
- 조정환 선생의 논평에 대한 반론
- 젠더와 장르 :『분별과 감수성』에서의 규범적 여성의 의미
- Deconstruction as a Way of Reading Literary Text and Reading Faulkner's Absalom, Absalom! as an Example
- 들뢰즈에게 어떤 윤리를 기대할 수 있는가?
- 미학과 윤리학의 문제적 구조 : 상호 관계의 재조망
- 들뢰즈 혹은 암호 해독가 : 바로크와『성 테레사의 희열』
- Baudelaire's Symbolism and Commodity Fetishism
- 들뢰즈와 '존재의 일의성'
- 텍스트의 이면 : 문학의 토대에 대하여
- Foucault, Discourse, and the Technology of Power
- <투고 안내> 외
- 들뢰즈의 소수정치와 네그리의 삶정치
- 사이드 이후의 탈식민주의 동향 : 전유의 부메랑
- 들뢰즈의 언어와 문학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