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oblematics of Aesthetics and Ethics : A Prospective Review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저자명
- 조규형(Kyu-hyung Cho)
- 간행물 정보
- 『비평과 이론』제10권 제2호, 183~20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response to the Mutlticulturalist claims of the ethico-political as well as the Postmodern claims of the aesthetic in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this paper reviews the problematic relationship and entertwinement of aesthetics and ethics, and suggests its revisionary implications toward the current literary studies. The relational discussion of the two disciplines is best instanced in Kant's luminary statement around the end of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Two things fill the mind with ever new and increasing admiration and awe, the oftener and the more steadily we reflect on them: the starry heavens above and the moral law within." Actually this declaration epitomized Kantian efforts in making a metaphoric and symbolic bridge from the ethical to the aesthetic.
It is Lyotard in particular who applied the Kantian idea of the sublime and justified the symbolic representation in the ethical controversy surrounding the issue of Holocaust. Lyotard warned the witnesses and testimonies by the Holocaust survivors should be regarded as, at least, sublime allusions to the unspeakable atrocities. Amid the New Historical, Multicultural, and even Postmodern environment, Eagleton also advised us to dialectically understand the humanistic legacy of the aesthetic concerns born in the Enlightenment era. After discussing the three major theorists, this study focuses on Satya P. Mohanty, and concludes with a commentary on the ways to supplement his revisionist theory of Multiculturism and New Historicis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들뢰즈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 유목주의와 자율주의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제기
- 오길영 교수의「들뢰즈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에 대한 반론
- 기표의 물질성과 메타포-라캉의 의미론 다시 읽기
- 리파떼르의 구조문체론과 텍스트 생산 이론
- 베르그송, 들뢰즈 그리고 베케트 문학의 '잠재태'(the Virtual) 혹은 '순수과거'의 시간
- 조정환 선생의 논평에 대한 반론
- 젠더와 장르 :『분별과 감수성』에서의 규범적 여성의 의미
- Deconstruction as a Way of Reading Literary Text and Reading Faulkner's Absalom, Absalom! as an Example
- 들뢰즈에게 어떤 윤리를 기대할 수 있는가?
- 미학과 윤리학의 문제적 구조 : 상호 관계의 재조망
- 들뢰즈 혹은 암호 해독가 : 바로크와『성 테레사의 희열』
- Baudelaire's Symbolism and Commodity Fetishism
- 들뢰즈와 '존재의 일의성'
- 텍스트의 이면 : 문학의 토대에 대하여
- Foucault, Discourse, and the Technology of Power
- <투고 안내> 외
- 들뢰즈의 소수정치와 네그리의 삶정치
- 사이드 이후의 탈식민주의 동향 : 전유의 부메랑
- 들뢰즈의 언어와 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