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들뢰즈의 언어와 문학
이용수 673
- 영문명
- Deleuzian Language and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저자명
- 김지영(Ji-young Kim)
- 간행물 정보
- 『비평과 이론』제10권 제2호, 11~3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one of pivotal thinkers in the postmodern era, Gilles Deleuze introduces us into a very unique approach to language and literature. His theory of language and literature stems from his philosophy of event and becoming, whose uniqueness is such that we can dubbed it an adjective that bears his name. This paper explores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of Deleuzian language and literature.
What is unique about Deleuzian language is that it focuses on becoming, not being. Plato distinguishes between two languages: one designating the pauses and rests which receive the action of Idea, the other expressing the movements or rebel becoming, i.e. languages of being and becoming. Whereas Plato hopes to keep beings from becomings by containing the latter within its own sphere, Deleuze tries to reveal that the language of becoming is not separate from that of being but the one subsists or inheres in the other as a potential.
Similarly, Deleuzian literature opens itself to becoming by becoming-minor. Proust said that great literature opens up a kind of foreign language within the language in which it is written. This foreign language is not another language but rather the becoming-minor of language itself. A minor literature is not necessarily a literature written in a minor or marginalized language; for Deleuze, the term "minor" does not refer to specific literatures but rather to the revolutionary conditions for every literature.
목차
Ⅰ. 생성의 언어
Ⅱ. 언어학에 대한 네 가지 비판
Ⅲ. 들뢰즈적 문학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들뢰즈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 유목주의와 자율주의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제기
- 오길영 교수의「들뢰즈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에 대한 반론
- 기표의 물질성과 메타포-라캉의 의미론 다시 읽기
- 리파떼르의 구조문체론과 텍스트 생산 이론
- 베르그송, 들뢰즈 그리고 베케트 문학의 '잠재태'(the Virtual) 혹은 '순수과거'의 시간
- 조정환 선생의 논평에 대한 반론
- 젠더와 장르 :『분별과 감수성』에서의 규범적 여성의 의미
- Deconstruction as a Way of Reading Literary Text and Reading Faulkner's Absalom, Absalom! as an Example
- 들뢰즈에게 어떤 윤리를 기대할 수 있는가?
- 미학과 윤리학의 문제적 구조 : 상호 관계의 재조망
- 들뢰즈 혹은 암호 해독가 : 바로크와『성 테레사의 희열』
- Baudelaire's Symbolism and Commodity Fetishism
- 들뢰즈와 '존재의 일의성'
- 텍스트의 이면 : 문학의 토대에 대하여
- Foucault, Discourse, and the Technology of Power
- <투고 안내> 외
- 들뢰즈의 소수정치와 네그리의 삶정치
- 사이드 이후의 탈식민주의 동향 : 전유의 부메랑
- 들뢰즈의 언어와 문학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