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嶺南地方 樓亭文學 硏究(1) - 慶州, 淸道, 永川, 安東 地域 所在 樓亭을 중심으로 -

이용수 193

영문명
A Study on Nujung Literature in Yeungnam Province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오용원(Oh Yong-wo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대동한문학 제22집, 439~47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0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남지방에 소재하는 누정을 문학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서, 먼저 慶州ㆍ淸道ㆍ永川ㆍ安東 地域에 있는 누정의 몇 가지 특징을 문학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경주지역의 누정은 16세기에서 20세기 중반까지 다양한 공간적 기능을 가지고 건립되었고, 이를 경영하여 왔다. 16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건립된 누정은 대부분 관직에 물러나 晩年을 보내기 위한 退休와 藏修의 기능과 후진 양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시기에 건립된 누정은 건립의 주체나 경영도 門中이나 鄕村의 부조로 건립되었다기보다는 주로 재력을 갖춘 개인에 의해 건립되었다. 그리고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 건립된 누정은 향촌 사회에서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在地士族에 의해 건립된 것이 많다. 이들은 학행이 출중한 先祖가 있으면 이를 선양함으로써 鄕村社會에서 자신들이 속한 門中의 사회적 地位와 權威를 견고히 하기 위하여 그 入鄕祖의 宗孫이 건립하거나, 아니면 그 支孫들이 서로 扶助하여 경관이 좋은 곳에 터를 잡아 정자를 건립하였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누정은 선조의 선양이라는 획일화된 양상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는 사족들이 현실을 인식하고 급변하는 국내 정세로 인해 암울한 현실을 피하기 위해 세상에 나아가기보다는 여건만 주어진다면 향촌사회로 귀래하려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며, 아울러 봉건적인 신분 질서의 와해로 인해 경제력 소유의 변동에도 원인이 있다. 그리고 이 경주ㆍ청도ㆍ영천ㆍ안동 지역에 소재하는 누정의 공간적 기능은 先祖의 追慕와 宣揚의 공간, 後學養成의 공간, 隱逸自適의 공간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특히 후학양성에 있어서 자기와 다른 他姓의 인재를 교육하기보다는 자신의 문중 자손들을 강학하기 위해 건립하였던 것이다. 다음은 上板 題詠詩에 나타난 문학적 자질을 살펴보았다. 먼저 자연에 대한 인식에서, 자연과 자기의 만남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의 친화관계를 발견하였으며, 자연을 관조하고 자연을 미적 대상으로 삼아 審美的 遊樂의 한 공간으로 인식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시인이 동경한 탈세속한 경지와 산수는 仙界로써 遊仙의 意境을 借用하여 서정을 그리기도 하였다. 이는 山水美의 卽物的 歎賞이며, 심지어 시인의 과도한 내면세계의 표현이기도 하다. 시인은 隱遁을 當爲的 選擇이라고 여겼는데, 이러한 隔世의 공간을 극적으로 표현하면 세속과 대립되는 閉鎖的 隱逸의 세계이기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over some literary characteristics in literature of several Nujung in Gyungju, Chungdo, Yeungchon and Andong regions in Yeungnam province. Especially, the Nujungs of Gyeungju region constructed from 16C to the mid 20C had various spacial functions. The most ones of 16~18C had performed the functions as a rest and moral training space of retired government officials and as educational promotion facilities for younger fellows, and their construc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for the Nujungs constructed at that time, had also been done by mostly individuals having financial power(ability) rather than by the help of Moonjung(large family group of same surname ) or a country village. However, the ones of 19C~the early 20C had been established mainly by classical scholars. They, if there was any prominent figure among their ancestors in scholarship and virtue, established Nujung to strengthen the social status and authority of their whole family in country village by promoting his virtuous conduct, or their descendents had established Jungja(pavilion) by mutual contribution at a site of good scene. Especially, the Nujung established in th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show clearer uniform aspect of enhancing the prestige of ancestors, which is caused by the returning to their hometown, if a condition is given, rather than making their way to the world to escape from a gloomy realities due to the rapidly changing national situation, furthermore which is also caused by changes in the subjects of financial power with the collage of social class of the feudal age. The spacial functions of the Nujung located in Gyeungju, Chungdo, Yeungchon, Andong can be divided into the ones: for cherishing the memory of an ancestors and promoting their prestige, for cultivating younger fellows(students), and for leading a life of ease and contentment. Especially, in cultivating younger fellows(scholars), the offsprings of their Moonjung was given preference to the ones of other family clan. Next, the researcher would look into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in Sang-pan-je-young-si (上板題詠詩). First, the narrator, in recognition of nature, found a friendly relations between human and nature through a meeting with nature, and recognized as a space for esthetic amusement in which they contemplate nature and make it an object of beauty. And the unworldly style of state and landscape for which the poet had a yearning was described as a Zen world borrowing the Yukyung(意境) of Yuson(遊仙), which is a reflection of a landscape beauty as well as an expression of the excessive inner world by the poet. The poet has considered a seclusion as a natural selection, the dramatic expression of this different age space is also the world of seclusion which conflicts with the secure world.

목차

국문초록
Ⅰ. 序論
Ⅱ. 樓亭의 時代的 變貌 樣相과 機能
Ⅲ. 樓亭文學에 나타난 文學的 資質
Ⅳ.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용원(Oh Yong-won). (2005).嶺南地方 樓亭文學 硏究(1) - 慶州, 淸道, 永川, 安東 地域 所在 樓亭을 중심으로 -. 대동한문학, 22 , 439-472

MLA

오용원(Oh Yong-won). "嶺南地方 樓亭文學 硏究(1) - 慶州, 淸道, 永川, 安東 地域 所在 樓亭을 중심으로 -." 대동한문학, 22.(2005): 439-4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