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서예의 독창성 탐색과 세계화 전략 - 전라북도 주관 「세계서예 전북 비엔날레」와 연계하여 -

이용수 130

영문명
The Inquiry of Originality and Globalizing Strategy of Korean Seoyea In Connection with 'the 20th Century World Seoyea Biennale of Jeollabukdo Generously Sponsored by the Jeollabukdo Government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병기(Kim Byeong Gi)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대동한문학 제22집, 233~310쪽, 전체 7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01
12,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1세기 문화예술의 시대에 한국 서예의 독창성을 탐구하고 그 독창적인 아름다움을 세계화하는 길을 찾기 위해 작성되었다. 제Ⅰ장은 서론, 제Ⅱ장에서는 한국 서예의 독창성을 탐구함에 있어 우선 한국서예사를 세 시기로 分期한 다음 제1절에서는 제1시기인 ‘원형적 한민족 서예기’ 한국서예의 독창성을 탐색하고 제2절에서는 ‘自覺的 朝鮮眞體期’라는 題下에 李匡師와 李三晩을 중심으로 한국 서예가 중국 서예로부터 벗어나 어떠한 독창적인 ‘美’를 띠게 되는지를 밝혔다. 제Ⅲ장에서는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와의 연계아래 한국 서예를 세계화하는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고 세계화의 試案으로서 서예심리치료와 서예디자인 산업 육성 그리고 서예의 공연 예술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고구려 서예의 독창성은 광개토대왕비에서 찾을 수 있는데 광개토대왕비체는 字體上 기본적으로 古隸體이지만 篆書의 字形이나 草書의 자형도 섞여 있으며 필획은 매우 질박하고 挑劃이나 별劃, 捺劃 등이 없이 점과 직선으로만 이루어졌다. 體形은 기본적으로 방형을 유지하면서 정방형, 직방형, 사다리꼴, 마름모꼴 등 다양한 형태와 上肥下瘦, 下肥上瘦, 左小右大, 右小左大 등 기상천외한 비율을 이루고 있어서 동 시대의 중국서예와는 판이하다. 무의도적으로 창작된 글씨이다. 이러한 ‘무의도성’으로 인하여 광개토대왕비는 매우 세련되어 있으면서도 질박하고 자유스럽고 자연스럽다. 광개토대왕비와 함께 백제 무령왕지석과 신라의 냉수리비와 봉평비, 적성비를 주요 자료로 삼아 원형적 한민족 서예시기의 독창성을 탐색한 결과, 이 시기에는 중국서예와는 판이한 독창성이 분명히 존재하였는데 그 독창성을 바로 ‘무의도성’에 있다. 무령왕 지석의 경우 刻稿가 없이 새길 정도의 무의도성을 반영하고 있고 신라의 비는 필획의 부정형성으로 인하여 무의도성이 드러나 보인다. 이 ‘무의도성’ 은 자유성, 자연성, 호방성, 질박성, 등을 다 포함하는 개념이다. 우리 민족이 ‘무의도성’의 서예를 하게 된 원인은 우리 민족이 가진 성급하면서도 탁월한 창의성 즉 ‘卽創性’에 있다. 통일신라 이후 중국에 대한 事大로 인하여 우리 민족의 즉창성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예속적인 서예를 해오다가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 조선 서예에 대한 자각아래 ‘朝鮮眞體’서예가 완성된다. ‘朝鮮眞體’라는 말은 본 논문에서 처음 사용하는 용어이다. ‘朝鮮眞體’의 완성자인 이삼만은 원형적 한민족 서예시기에 우리 서예가 가지고 있던 독창성을 발전적으로 재현하였다. 그의 필획은 부정형성이 뚜렷하다. 서예에 내재해 있는 강한 수신성을 부각시킨다면 21세기에 서예는 충분히 세계화 할 수 있으며, 서예의 획과 번짐의 효과 등을 이용하여 디자인 산업을 육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예를 공연 예술로 변용하여 세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세계화 작업은 세계서예전북Biennale를 통하여 보다 더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the originality of Korean Seoyea and then finding ways to globalize its original beauty. The introduction of chapter Ⅰ contains the motive, objectives, necessity, and methods of this research. Chapter Ⅱ deals with Korean Seoyea's originality. In the first place, the history of Korean Seoyea can be divided into 3 periods centering around the influence of Chinese Seoyea. Clause 1 inquires into the originality of the first period of 'archetypal Korean Seoyea.' Clause 2 describes how Korean Seoyea had gotten away from the sway of Chinese Seoyea and achieved its own original beauty with Lee Kwangsa and Lee Samman under the title of 'The Self Awakened Joseon's Own Seoyea Style.' Chapter Ⅲ, in connection with the World Seoyea Biennale of Jeollabukdo, examines every available method to globalize Korean Seoyea and suggests Seoyea's psychological therapy, raising the Seoyea design industry, and the way to enhance Seoyea performance on st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originality of the style of the characters on the monument of Gwanggaeto the Great can be estimated as Koguryeo's own style, in other words, its own originality. It is basically Goyea style, but has also the shapes of seal and cursive characters. Its brush stroke is very unsophisticated and consisted of dots and straight lines without dohoik, byeolhoik, and nalhoik. The types of characters basically maintain square shapes and also show perfect square, rectangular, ladder, lozenge shapes and many other shapes, and reveals unbalanced proportion such as 'upper side is fat and lower side is thin,' 'lower fat upper thin,' 'left small right large,' and 'right small left large'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Chinese shapes. They are unintentionally created shapes. By this unintendedness, the style of characters on the monument of Gwanggaeto, the Great is much unstrained, free, and natural. In the previous studies, the feature of Korean Seoyea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including Shilla Seoyea was 'the irregularity of deity‘, but the deity of Korean Seoyea is in the irregularity of the brush stroke. Inquiring into the originality of the archetypal Korean Seoyea period with the monuments of Gwanggaeto the Great, King Muryeong of Baeckje, and the tombstones of Naengsuri, Bongpyeong, and Jeockseong of Shilla, there was a completely different originality which was different from Chinese ones, and it was based on 'the unintendedness.' In the case of King Muryeong, the characters on the stone reflected the unintendedness to engrave without the original manuscript and the monuments of Shilla show it with the irregularity of the brush stroke. In this unintendedness, there contains the concepts of freedom, naturalness, unstrainedness, and unsophisticatedness. Korean's quick-tempered excellent creativity, i.e., immediate creativity made it possible for us to do 'unintended' Seoyea. Since United Shilla, owing to toadyism of China, our Seoyea had not expressed our own immediate creativity but followed Chinese style until Chusa, Kim Jeonghee. In the later period of Joseon, 'Joseon's own Seoyea style' was accomplished by realizing its own beauty. 'Joseon's own Seoyea style' is a term I coined and us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field. The crowner of it, Lee Samman, creatively represented our own originality originated from the archetypal Seoyea period. His brush stroke obviously showed irregular shape. He used various types of characters in his work but they are well harmonized. Seoyea is an art of cultivating oneself. Seoyea's moral training effect can be globally combined with the function of its psychological therapy function. Using the stroke and spread effect and the formativeness of Seoyea will lead to various design inventions. Seoyea is very similar to music and ballet, so it can be possible to transform it to stage performances. This kind of globalization will be effectively performed through the World Seoyea Biennale of Jeol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한국 서예의 독창성
Ⅲ. 한국 서예의 세계화 전략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병기(Kim Byeong Gi). (2005).한국 서예의 독창성 탐색과 세계화 전략 - 전라북도 주관 「세계서예 전북 비엔날레」와 연계하여 -. 대동한문학, 22 , 233-310

MLA

김병기(Kim Byeong Gi). "한국 서예의 독창성 탐색과 세계화 전략 - 전라북도 주관 「세계서예 전북 비엔날레」와 연계하여 -." 대동한문학, 22.(2005): 233-3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