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陶厓 洪錫謨의 생애와 시세계

이용수 324

영문명
The life and poetry world of Hongsukmo(洪錫謨)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이관성(Lee kwan-Sun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대동한문학 제22집, 159~202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0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東國歲時記』의 저자로 알려진 홍석모(1781~1857)는, 耳溪 洪良浩(1724~1802)의 손자이며, 이조판서를 지낸 薰谷 洪羲俊(1761~1841)의 아들이다. 역시 이조판서를 지낸 冠巖 洪敬謨(1774~1851)가 그의 사촌형으로, 소위 경화사족에 해당한다. 그는 『陶厓詩集』, 『陶厓詩文選』, 『游燕藁』, 『賞心錄』 등의 저술을 통하여 6000 수 이상의 시를 남으로 남겼으나, 현재까지 그의 생애조차 정확하게 연구된 것은 없다. 홍석모의 본관은 豊山으로 初名은 錫榮이며 字는 敬敷이고, 호는 玉灘居士, 九華齋, 陶厓, 近窩, 紫閣山人, 望西堂, 사翁, 一兩軒, 餐勝子이다. 1781년 7월 29일 한양 훈도방 泥峴(지금의 충무로2가)에서 薰谷 洪羲俊과 용인이씨로 부사를 지낸 李章祜의 따님(1760~1835) 사이에서 외아들로 태어났다. 도애의 어린 시절의 교육은 조부인 이계 홍양호의 밑에서 이루어졌다. 도애는 이계로부터 경전과 서예를 직접 배운다. 그 후 도애는 賞心契와 菊社 등의 시사를 통하여 시 공부를 계속하며, 시로 문단에 이름을 날린다. 한편 도애의 학문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도교와 불교에 대해 개방적인 자세를 지녔다는 것이다. 그는 이계를 모시면서 도교와 불교에 대하여 방대한 독서를 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며, 스님들과 교유관계를 맺는다. 『南華經』을 읽었다는 진술이 있고, 『산해경』을 읽은 독후감을 장편의 시로 남기기도 한다. 도애는 유가의 경전 공부에 대하여 “딱딱한 밤을 씹는 것 같고, 마른 우물을 파는 것 같아서, 조용히 潛心하여 깊이 사색하려하면 곧 졸음이 몰려온다.”고 하였으며, 선비들이 배격했던 중국의 패관소설을 읽은 것으로 보인다. 도애는 50권 21책의 『도애시집』, 『도애시문선』의 金ㆍ石ㆍ絲ㆍ竹편, 『遊燕藁』의 天ㆍ地ㆍ人편에 모두 6000수 이상의 시를 남겼다. 작품수가 많은 만큼 시의 내용도 여러 양상을 보이는데, 국토자연을 노래한 기행시, 민초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나타낸 시, 민족 전래의 민속과 연희에 대한 시, 다른 작가에서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잡체시, 정물에 대해 읊은 시, 그리고 친우들과의 수창시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 중 필자는 도애의 시세계에서 나타나는 세 부분, 즉 유람하면서 바라본 국토자연과 그 안에 깃들어 살고 있는 민초들의 삶, 그리고 그들의 어려운 생활 속에서도 삶의 즐거움과 위안을 제공하는 민족 전래의 풍속과 연희의 세 단락이 ‘우리 것에 대한 애정’이라는 한 주제의 흐름 아래 연결된 고리의 연속이라고 파악하였다.

영문 초록

Hongsukmo(1781~1857), who is famous for writing Dongkuksyesiki(동국세시기), is the grandson of Hongyangho(洪良浩 1724~1802) who was a prominent scholar in the later of the Chosun dynasty, is the son of Honghejun(洪羲俊 1761~1841) who was occupied the minister of Yijo(吏曹). He wrote Doyaesijib(『도애시집』), Doyaesimunsun(『도애시문선』), Yuyeongo(『遊燕藁』) and Sangsimrok(『상심록』), but up to now what kind of study on him have not been done. He was directly taught Kyungjun(經典) and Seyae(書藝) by Hongyangho. And later he organized sisa(詩社)s which were named sangsimkye(상심계) and kuksa(菊社), made a name in literature. Otherwise making observation of his scholary feature, he maintained open attitude against buddhism(佛敎) and taoism(道敎). Furthermore he read enormous book of buddhism and taoism. he read the paekwan(稗官) novel of china. He wrote poet more than 6000. I think that there are three category in his poet world under the ‘love for Ours' of subject. There are 1.national nature 2.the life of people 3.traditional amusement.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생애와 교유
3. 도애의 시세계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관성(Lee kwan-Sung). (2005).陶厓 洪錫謨의 생애와 시세계. 대동한문학, 22 , 159-202

MLA

이관성(Lee kwan-Sung). "陶厓 洪錫謨의 생애와 시세계." 대동한문학, 22.(2005): 159-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