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미지와 실재: ‘나비의 꿈’

이용수 0

영문명
Image and Reality: "The Dream of the Butterfly"
발행기관
한국중국문화학회
저자명
이연도
간행물 정보
『중국학논총』제85호, 335~34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인공지능과 가상현실의 이론적 기반이 되는 이미지와 실재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 장자철학의 ‘나비의 꿈’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장자는 나비의 꿈을 통해 이미지와 실재의 관계, 가상과 실제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데, 이는 일상생활의 디지털화가 보편화된 현 시점에서 충분히 논의할 가치가 있다고 보여 진다. 이제 우리 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 디지털 공간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 동서양 철학의 관련 이론을 차분히 검토해 봐야 할 때이다. 과학기술의 발전 속도가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되면서 이미지가 차지하는 공간은 그 범위가 훨씬 넓어졌다. 이에 비해 自然이나 실제 영역은 상대적으로 그 역할이 많이 축소되었다. 장자는 일찍이 기술이 갖는 효율에 내재된 위험성에 대해 얘기한 바 있는데, 그 문제의식에 담긴 성찰은 깊이 음미할 만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reality, which serves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irtual reality, and discusses its significance through the lens of Zhuangzi’s Dream of the Butterfly. Zhuangzi, through this allegory, raises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s and reality, as well a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virtual and the real—issues that are particularly relevant in an era where the digitalization of everyday life has become widespread. Given that digital spaces now occupy a significant portion of our daily lives, it is time to carefully review relevant theories from both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to understand how we should perceive this new realit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미지는 실재의 반영인가
1) 이미지와 실재에 대한 재평가
2) ‘나비의 꿈’에 나타난 이미지와 실재
Ⅲ. 이미지와 시뮬레이션 이론
Ⅳ. 나오는 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연도. (2025).이미지와 실재: ‘나비의 꿈’. 중국학논총, (), 335-345

MLA

이연도. "이미지와 실재: ‘나비의 꿈’." 중국학논총, (2025): 335-3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