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소재 한국 관련 석물 4종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Four Korea-Related Stoneworks Located in China
- 발행기관
- 한국중국문화학회
- 저자명
- 박현규
- 간행물 정보
- 『중국학논총』제85호, 139~15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고에서 언급한 한국 관련 석물은 韓世能 朝鮮出使 각석, 徐希震 魯班洞 각자, 金朝貴 묘비, 李寧齋 제6 笑啼巖 등 4종이다.
대만 臺南 應元宮 소재 한세능 조선출사 각석은 전형적인 福緣善慶을 알리는 민간 설화에서 나왔다. 이 석물에는 한세능이 선대의 선행으로 명 등극정사가 되어 일품관복을 입고 조선출사에 나서게 된 장면이 새겨져 있다. 산동 泰安 泰山 소재 서희진 노반동 각자는 임진왜란의 승전을 이끈 經略 邢玠를 위해 저술한 ≪東征記≫의 저자 서희진이 산동 지역에서 활동했던 사실을 입증해준다.
하북 靑龍 老院村 김조귀 묘비는 청 건륭 때 세운 조선 출신 만주 기인의 석물이다. 김조귀는 조선 출신 만주 기인 金福貴와 시대에 활동하며 같은 항렬자를 쓰고 있다. 광서 龍州 中山公園 李寧齋 제6 笑啼巖은 민족지사 이영재가 웃지도 못하고 울지도 못하는 망국의 한을 담아 새겼다. 이 각석에는 중국 명산 6곳에 소제암을 세긴 소이를 엿볼 수 있는 명문이 들어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als with four stoneworks related with Korea, and located in China: the monument to celebrate that Han Shineng(韓世能) was sent to China as Joseon envoy; The monument of Shi Xizhen(徐希震) located in Luban Cave(魯班洞); the gravestone for Jin Chaogui(金朝貴); The Sixth Soje Rock(笑啼巖) of Lee Youngjae(李寧齋).
The monument to celebrate that Han Shineng was chosen as the envoy by the Joseon court to be sent to China located in Yingyuan Gong(應元宮) is located at Tainan(臺南), Taiwan. The motive to make the monument was from the typical folktale that 'if one accumulates good deeds for a long time, one can get good fortune some time in the future'. The monument is carved with the scenes describing how good behaviors of Han's ancestors resulted with the glory that the descendent Han could become the enthronement envoy of Ming, China sent by Joseon kingdom. The monument to commemorate Shi Xizhen located in Luban Cave of Mt. Taishan(泰山), Taian(泰安) in Sandong Province proves that Shi Xizhen who wrote ≪Dongzhengj(東征記)≫ for Jinglue(經略) Xing Jie(邢玠) who served to win the battles in Joseon when Japan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16th century (1592-98) was active in Sandong Province.
The gravestone of Jin Chaogui located in Laoyuancun(老院村), Qinglong(靑龍), Hebei Province is the work commemorating Jin Chaogui, Manchurian man who origin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 gravestone was made during Emperor Aisin Gioro in Ching China. Jin Chaogui was a contemporary of Jin Fugui(金福貴), and belonged to the same big family with the latter. The Sixth Soje Rock of Lee Youngjae, Korean patriot, located in Zhongshan park(中山公園), Longzhou(龍州) in Guangxi Province was created to express his sadness that his country was destroyed by Japan. The monument contains the description which allows us to guess why he decided to build Soje Rocks in six famous mountains in China.
목차
Ⅰ. 서론
Ⅱ. 대만 臺南應元宮韓世能朝鮮出使각석
Ⅲ. 산동 泰安泰山徐希震魯班洞각자
Ⅳ. 하북 靑龍老院村金朝貴묘비
Ⅴ. 광서 龍州中山公園李寧齋제6 笑啼巖
Ⅵ. 결론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브릭스의 다자주의 세계질서 모색 ―중국의 역할을 중심으로
- 공자의 수사修辭 분석을 통한 오미사악五美四惡의 타당성 및 유효성 고찰
- 중국 소재 한국 관련 석물 4종 고찰
- 韩汉语“아직”与“还”的语义对比分析
- 한자 구성요소 ‘火’의 의례적 의미 확장 분석 ―《說文解字》 小篆을 중심으로 한 한자구형학적 고찰
- 詩韻으로 본 《全遼金詩》의 판본별 韻字 연구
- 명말 청초 도선逃禪 현상과 유민승遺民僧 군체 ―오중吳中 지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AI 기반 중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의 영혼靈魂과 육체肉體
- 中国高等教育质量评价研究的十年演进 ―基于CiteSpace文献计量分析
- 증욱의 구봉원 추계에 관한 고찰 ― 문화 전통의 창조적 계승의 관점을 중심으로
- 켄 리우 〈파자점술사〉에 나타난 ‘한자’의 마법과 국가권력의 관계
- Analysis of the Spatial Spillover Effect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Empirical testing based on data from 30 provinces and regions in China
- 중국 학부모들의 시선에서 바라본 시진핑 정부의 쌍감双减정책
- 순자의 국가경영사상에 대한 연구
- 徐復觀文化哲學硏究
- 중국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의 아동 재현과 특성 ―〈시양양과 후이타이랑의 달팽이 원기충전〉을 중심으로
- 이미지와 실재: ‘나비의 꿈’
- 东亚近代化进程中的国学建构与文化认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