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증욱의 구봉원 추계에 관한 고찰 ― 문화 전통의 창조적 계승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Jiufengyuan-qiuxi by Zengyu - Based on the creative succession of cultural traditions
발행기관
한국중국문화학회
저자명
이동훈
간행물 정보
『중국학논총』제85호, 179~20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증욱의 구봉원추계는 왕희지의 난정수계와 왕사정의 홍교수계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전통적 수계인 春禊가 아닌 가을이라는 계절을 선택하여 秋禊의 형식으로 개최함으로써, 전통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수계 문화의 ‘창조적 계승’이라는 독특한 성과를 남겼다. 특히 난정춘계벼루를 우연히 얻게 된 후 구봉원이라는 장소가 가진 흥미로운 역사와 인문 스토리와의 절묘한 연계성을 만들어 낸 천재적인 상상력과 기획력이 돋보이는 행사였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Zeng-yu's estimation of ‘Jiufengyuan-qiūxì’ inherited the tradition of Wang-xizhi's Lantingxiuxi and Wang-shizhen's Hongqiaoxiuxi, but chose the season of autumn rather than the traditional water system, chunxi, and held it in the form of a qiūxì, leaving a unique achievement of ‘creative inheritance’ of water culture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 In particular, it was an event that showed the genius imagination and planning ability that created an exquisite connection between the interesting history of the place called Jiufengyuan and the humanities story after accidentally acquiring the Lantingxiuxi-inkstone.

목차

Ⅰ. 서론
Ⅱ. 추계 복원의 배경
Ⅲ. 구봉원 추계의 개최 동기
Ⅳ. 구봉원 추계의 내용과 지향
1) 추계 복원에 대한 자부심 발현
2) 碧筒飮의 전통 재현
3) 침울한 시대 분위기의 반영
4) 脫俗의 정신 지향
Ⅴ. 결론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훈. (2025).증욱의 구봉원 추계에 관한 고찰 ― 문화 전통의 창조적 계승의 관점을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 179-200

MLA

이동훈. "증욱의 구봉원 추계에 관한 고찰 ― 문화 전통의 창조적 계승의 관점을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2025): 179-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