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자 구성요소 ‘火’의 의례적 의미 확장 분석 ―《說文解字》 小篆을 중심으로 한 한자구형학적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Ritual Meaning Expansion of the Chinese Character Element “火” — A Chinese Character Structure-Based Study Centered on the Xiaozhuan Forms in Shuowen
발행기관
한국중국문화학회
저자명
노민정
간행물 정보
『중국학논총』제85호,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자구형학과 인지언어학(개념적 혼성이론, 개념적 환유) 이론을 바탕으로,《說文解字》소전 자형 중 구성요소 ‘火’를 포함한 ‘槱’, ‘尞’, ‘烄’, ‘烝’, ‘焌’, ‘灼’, ‘��’, ‘燋’, ‘燭’, ‘爝’ 등 10개 자형을 선별하여, 구성요소 ‘火’의 개념적 의미 확장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각 자형에 내재된 ‘火’의 의미가 고대 중국의 제사, 점술, 의례 문화와 어떻게 결합되어 다층적으로 확장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곧, 인지적 의미 확장 기제를 통해 ‘火’가 자연 원소에서 출발해 하늘에 제물을 태워 바치는 행위(槱, 尞, 烄), 불기운으로 신을 받드는 예식(烝), 귀갑점을 치는 점술행위와 도구(焌, 灼, ��) 등으로 의미가 넓어졌으며, 횃불과 촛불 등의 의례 도구(燋, 燭, 爝)로도 발전해 의례 질서를 유지하고 신과 인간을 이어 주는 매개물로 기능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의례와 관련된 10자만을 분석함으로써, ‘火’를 포함하는 모든 자형을 포괄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향후 후속 연구로 보완할 예정이다. 또한 갑골문과 금문 등 고문자 자료로까지 범위를 넓혀, ‘火’의 의미망에 고대 중국인의 사유체계와 문화적 관념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자형에 반영되었는지 더욱 심층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s Chinese character structure analysis and cognitive linguistics (conceptual blending theory and conceptual metonymy) to examine the xiaozhuan forms in Shuowen Jiezi that incorporate the structural element “火.” Focusing on ten characters (槱, 尞, 烄, 烝, 焌, 灼, ��, 燋, 燭, 爝), it explores how “火” intertwines with ancient Chinese rites, divination, and ceremonial culture, forming a multilayered conceptual domain. By applying cognitive mechanisms of meaning expansion, this study reveals how “火” evolved from a natural element into a ritual symbol, encompassing burning offerings (槱, 尞, 烄), fire-related ceremonies (烝, 焌, 灼, ��), and ceremonial implements like torches and candles (燋, 燭, 爝). Although limited to ten religiously linked characters, future research will extend to additional script forms, such as jiaguwen and jinwen, to further explore the cognitive and cultural evolution of “火” in the Chinese writing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한자 구성요소 ‘火’의 의례적 의미 확장 양상
Ⅳ. 결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민정. (2025).한자 구성요소 ‘火’의 의례적 의미 확장 분석 ―《說文解字》 小篆을 중심으로 한 한자구형학적 고찰. 중국학논총, (), 1-27

MLA

노민정. "한자 구성요소 ‘火’의 의례적 의미 확장 분석 ―《說文解字》 小篆을 중심으로 한 한자구형학적 고찰." 중국학논총, (2025):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