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詩韻으로 본 《全遼金詩》의 판본별 韻字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중국문화학회
저자명
백종인
간행물 정보
『중국학논총』제85호, 51~7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用韻 연구를 하면서 심각하게 서로 어울리지 않는 韻이 들어간 예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를 모두 특수한 合韻현상으로 보자니 실제 언어현상과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나타나고, 그렇다고 이를 모두 合韻하는 다른 글자의 오류라고 단정 지을 수 있는 근거도 없기에 시인 개인의 특징이나 방언 등 그 근거를 찾는데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한다. 하지만 《全遼金詩》에는 여러 판본을 고증하여 다르게 기록된 글자에 대해 상세히 주석하였다. 이러한 각 판본의 글자는 대부분 시구에 사용되며, 오류로 판단된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이러한 글자가 운자일 경우 다른 운자와의 비교를 통해 어떤 글자가 운자로 더 적합한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全遼金詩》 판본의 모든 운자를 조사하여 합운에 문제가 있는 운자를 상세히 분석하였다. 《全遼金詩》 전체에서, 총 122개의 다른 판본에 다른 운자를 사용하는 운단을 발견하였다. 그 중 35개의 운단에 대해 시가의 용운 운부에 의거하여 운자로서 자격 여부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또한, 122개의 운단을 운부별로 분류하여 표 형태로 제시하였으며, 각 판본에서 제공한 운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의 주된 근거는 《廣韵》이며, 필요에 따라 《集韵》, 《中原音韵》 등을 참고하였다. 표는 서술 편의를 위해 《廣韵》 체제로 구성된 운부를 따랐으며, 필요에 따라 송대 시가의 운부를 참고하여 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全遼金詩》에서 시인이 사용한 운자를 찾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在本研究中,通过研究用韵,发现了许多严重不协调的韵现象。将这些现象视为特殊的合韵现象,并不总是符合实际语言现象。同样,将这些现象全都归为合韵错误也是缺乏依据的,因此每次都在思考如何处理。然而,《全辽金诗》通过考证多个版本,详细注释了不同版本中不同记录的文字。这些各版本中的文字大多用于诗句中,少有被判断为错误的情况。然而,如果这些文字是韵字,可以通过与其他韵字的比较来判断哪个字更适合作为韵字。因此,本论文调查了《全辽金诗》中版本中的韵字实例,并详细分析了不协调的韵字。 《全辽金诗》全书中,共发现了122个不同版本提供了不同韵字的韵段。其中,35个韵段可以根据诗歌用韵的韵部来特定韵字,并进行了详细说明。此外,122个韵段按韵部分类,以表格形式呈现,以便查看各版本中提供的韵字。研究依据主要是《廣韵》,根据需要参考了《集韵》,《中原音韵》等。表格仅为叙述方便,按照《廣韵》体例构成韵部,并根据需要参考了宋代诗歌用韵的韵部进行了调整。希望通过本研究,能对《全辽金诗》中寻找诗人本身使用的韵字有所贡献。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陰聲韻部
2) 陽聲韻部
3) 入聲韻部
Ⅲ. 결론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종인. (2025).詩韻으로 본 《全遼金詩》의 판본별 韻字 연구. 중국학논총, (), 51-71

MLA

백종인. "詩韻으로 본 《全遼金詩》의 판본별 韻字 연구." 중국학논총, (2025): 5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