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학부모들의 시선에서 바라본 시진핑 정부의 쌍감双减정책
이용수 0
- 영문명
- The Double Reduction Policy of Xi Jinping's Gover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Parents
- 발행기관
- 한국중국문화학회
- 저자명
- 최원선 백계화
- 간행물 정보
- 『중국학논총』제85호, 267~29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국의 교육 체계는 그동안 급격한 경제 발전 속에서 양적 성장을 이뤘으나 지역 간, 계층 간 교육격차는 심화하였다. 시진핑 정부는 학생들의 부담과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정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였는데 대표적인 정책이 2021년에 제정한 쌍감정책(双減政策)이다. 이 정책은 학생들의 학업 부담과 학부모들의 교육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학부모들이 정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서로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학부모 7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쌍감정책이 도입된 이후 공교육 특히 입시 부담이 적은 소학교 저학년의 경우 숙제와 시험방식의 변화, 다양한 방과후 교실 운영 등 큰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입시 부담이 큰 중학교의 경우 쌍감정책 시행 후에도 선행학습을 진행하거나 교과목 관련 사교육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었다. 쌍감정책으로 인한 사교육 시장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사교육 음성화가 진행되고, 이에 따라 사교육비 부담이 증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례에서 여전히 사교육을 이용하고 있었다. 사교육 이용은 교육을 중시하는 사회문화환경, 시험을 통해 고등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교육제도, 가구와 개인의 특성 등 다양한 요인이 상호작용한 결과로 단순히 공교육 강화와 사교육 규제를 통해 줄이기는 어렵다.
영문 초록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implemented “Double Reduction Policy” in 2021, aimed at easing students’ academic burdens and reducing parents’ financial strain. This study examines parental experience and perception to the Double Reduction policy through interviews with seven parents from different regions. Findings reveal notable changes in elementary education, such as reduced homework, modified exam formats, and expanded after-school programs. However, in middle schools, where entrance exam pressure remains high, private tutoring and preemptive learning persist despite regulations. Stricter oversight of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has pushed tutoring underground, increasing financial burdens on families. The continued prevalence of private education reflects deep-rooted sociocultural values, the exam-based high school admission system, and household-specific fact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rengthening public education and enforcing stricter regulations alone may not be enough to reduce reliance on private education, making educational reform a complex challeng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1) 사례연구와 참여자 특성
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브릭스의 다자주의 세계질서 모색 ―중국의 역할을 중심으로
- 공자의 수사修辭 분석을 통한 오미사악五美四惡의 타당성 및 유효성 고찰
- 중국 소재 한국 관련 석물 4종 고찰
- 韩汉语“아직”与“还”的语义对比分析
- 한자 구성요소 ‘火’의 의례적 의미 확장 분석 ―《說文解字》 小篆을 중심으로 한 한자구형학적 고찰
- 詩韻으로 본 《全遼金詩》의 판본별 韻字 연구
- 명말 청초 도선逃禪 현상과 유민승遺民僧 군체 ―오중吳中 지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AI 기반 중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의 영혼靈魂과 육체肉體
- 中国高等教育质量评价研究的十年演进 ―基于CiteSpace文献计量分析
- 증욱의 구봉원 추계에 관한 고찰 ― 문화 전통의 창조적 계승의 관점을 중심으로
- 켄 리우 〈파자점술사〉에 나타난 ‘한자’의 마법과 국가권력의 관계
- Analysis of the Spatial Spillover Effect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Empirical testing based on data from 30 provinces and regions in China
- 중국 학부모들의 시선에서 바라본 시진핑 정부의 쌍감双减정책
- 순자의 국가경영사상에 대한 연구
- 徐復觀文化哲學硏究
- 중국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의 아동 재현과 특성 ―〈시양양과 후이타이랑의 달팽이 원기충전〉을 중심으로
- 이미지와 실재: ‘나비의 꿈’
- 东亚近代化进程中的国学建构与文化认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