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과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고찰한 내러티브의 개념과 교육적 효용
이용수 28
- 영문명
- Exploring the Concept of Narrative and Its Pedagogical Value in the Context of Expressio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양수연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2권 제3호, 31~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어과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내러티브를 보다 확장적이고 통섭적인 개념으로 재개념화하고 이것의 교육적 효용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국어 교육 담론 가운데 표현 교육(화법 교육 및 작문 교육) 분야에서 그간 논의되어 온 내러티브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후 내러티브의 개념을 둘러싼 국내외 담론을 토대로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내러티브를 재개념화하고 그것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요컨대 좁은 개념으로서의 서사(敍事) 개념을 넘어, 내러티브를 ‘의사소통 행위’의 차원에서 분석할 수 있는 역동적인 의미 구성의 가능태로 상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내러티브가 가지는 교육적 효용과 가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기능과 전략, 수행의 결과와 그 효과에 많은 관심을 두었던 기존의 표현 교육 현상을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확장된 개념의 내러티브를 표현 교육의 맥락으로 포섭하여 표현 교육의 외연을 넓히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conceptualize narrative within the context of expression education as broader and more integrative concept. To achieve this, Chapter 2 analyzes prior research on narrative within the fields of listening and speech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Building on this, Chapter 3 presents a reconceptualized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in the context of expression education, drawing o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Specifically, it extends the concept of narrative beyond a narrow understanding of “story” to a more dynamic construct that can be analyzed as a form of “communicative action”. Finally, Chapter 4 discusses the educational utility and value of this reconceptualized narrative within expression education. This study reflects critically on existing phenomena in expression education, which have traditionally focused on function, strategies, performance, outcomes, and effects,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broadens the scope of expression education by incorporating an expanded concept of narrativ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표현 교육과 내러티브
Ⅲ.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고찰한 내러티브의 재개념화
Ⅳ. 내러티브의 표현 교육적 효용과 그 가치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어과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고찰한 내러티브의 개념과 교육적 효용
- 백워드 설계와 내러티브를 활용한 한자어 교육 단원 설계 방안: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심리도식이론의 군 장병 내러티브 코칭 현장 적용가능성 탐색적 연구
- 문학 수업에서 내러티브의 한 유형으로서 아이러니의 활용 방안 탐구
- 초등학교 쉬는 시간의 잠재적 교육과정
- 상담을 받은 재혼가족 자녀의 가족정체성 변화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비연애와 비혼의 시대: 20대의 연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인간대상연구를 수행하는 고등학생 연구자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실태 연구
- 내러티브 기반 의학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 생성형 인공지능과 내러티브의 융합: 인간 중심 교육을 위한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