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학 수업에서 내러티브의 한 유형으로서 아이러니의 활용 방안 탐구
이용수 25
- 영문명
- Exploring the Use of Irony as a Type of Narrative in Literature Class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구오진훼이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2권 제3호, 191~22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학 수업에서 문학적 본질 구현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하여 내러티브의 한 유형으로서 아이러니의 활용 방안을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주된 연구문제로 아이러니의 활용 방안 탐색에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주로 문헌분석과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논의의 흐름을 연구 내용 중심으로 보면 주로 두 가지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연구 관련 주제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내러티브의 의미와 특징, 아이러니의 의미와 특징을 보여 주고 문학 수업의 이론적 접근을 밝혀 본다. 이 논의를 기초로 하여 그 다음에 문학 수업에서 아이러니의 활용 방안 가능성을 탐구하면서, 내러티브와 아이러니의 관련성을 설명하고 아이러니의 구체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최종적으로는 내러티브 한 유형으로서 교수학적 가치가 큰 아이러니 기반 문학 수업 방향을 제안해 본다. 이 방안은 문학다운 수업 실천을 위한 내러티브와 아니러니의 가치를 새롭게 조망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use of irony as a type of narrative in order to improve the difficulty of realizing the literary essence in literature class. To this end, the main research problem was focused on searching for ways to utilize irony flexibly. Literature analysis an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were mainly used to solve this research problem. Looking at the flow of research discussion centered on the research content, it is mainly dealt with in two aspects. It interpre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search-related topic, show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clarifie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irony, and reveals the theoretical approach of the literature class. Based on this discussion, we then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irony, explain the connection between narrative and irony, and suggest specific ways to utilize irony flexibly in literature class. Finally, we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irony-based literature class with great pedagogical value as a type of narrative. This plan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value of narrative and irony highly for the practice of literature-like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문학 수업에서 아이러니의 활용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어과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고찰한 내러티브의 개념과 교육적 효용
- 백워드 설계와 내러티브를 활용한 한자어 교육 단원 설계 방안: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심리도식이론의 군 장병 내러티브 코칭 현장 적용가능성 탐색적 연구
- 문학 수업에서 내러티브의 한 유형으로서 아이러니의 활용 방안 탐구
- 초등학교 쉬는 시간의 잠재적 교육과정
- 상담을 받은 재혼가족 자녀의 가족정체성 변화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비연애와 비혼의 시대: 20대의 연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인간대상연구를 수행하는 고등학생 연구자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실태 연구
- 내러티브 기반 의학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 생성형 인공지능과 내러티브의 융합: 인간 중심 교육을 위한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hen의 “Asia as method”라는 아이디어가 교육 연구의 탈식민화에 주는 시사점: 국내 다문화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 OECD 주요국의 고등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과 재정 투자 전략 탐색
- 디지털 교실환경 유형과 학생의 학교생활 : OECD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