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리도식이론의 군 장병 내러티브 코칭 현장 적용가능성 탐색적 연구
이용수 126
- 영문명
- Exploratory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Schema Theory in Narrative Coaching Settings for Military Personnel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정삼성 박유미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2권 제3호, 91~11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도식이론을 군 장병 대상 내러티브 코칭 현장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함으로써 군 장병들이 바람직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통하여 심리도식 관련 이론과 연구를 고찰하였고, 군 내 코칭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군 장병의 성장 과정에서 형성된 심리도식의 유형과 양식에 적합한 내러티브 코칭을 함으로써 적응적인 심리도식으로 전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심리도식이론과 내러티브 코칭은 융합적으로 작용하여 자아정체성의 재확립과 심리도식 양식의 전환을 도모하며, 이를 통해 군 장병의 심리적 안정과 적응력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불안정한 애착과 부적응적 심리도식으로 취약한 군 장병에게는 등급별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내러티브 코칭과 심리도식치료를 통합한 체계와 전문코치의 양성 및 보수교육이 필요하다. 추가로 군 병영생활과 가정을 연계하여 심리도식 양식에 적합한 내러티브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며, 성과분석과 지속적 보완을 통해 선진 병영문화를 정착시키는 노력이 지속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actical applications of schema theory in narrative coaching for military personnel, fostering their psychological growth and stability. Utilizing a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 examines schema-related theories and identifies actionable strategies for military coaching environments. Findings indicate that integrating schema theory with narrative coaching facilitates identity reformation and schema transformation, thereby enhancing psychological adaptability in soldiers. Tailored approaches, such as combining narrative coaching with schema therapy and providing professional training for coaches, are essential for addressing soldiers' insecure attachments and maladaptive schemas. Additionally, linking military life with familial support systems and developing schema-aligned coaching programs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n advanced military culture through continuous evaluation and improv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심리도식이론의 관련 연구 고찰
Ⅲ. 군 장병 내러티브 코칭 현장의 적용가능성 탐색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어과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고찰한 내러티브의 개념과 교육적 효용
- 백워드 설계와 내러티브를 활용한 한자어 교육 단원 설계 방안: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심리도식이론의 군 장병 내러티브 코칭 현장 적용가능성 탐색적 연구
- 문학 수업에서 내러티브의 한 유형으로서 아이러니의 활용 방안 탐구
- 초등학교 쉬는 시간의 잠재적 교육과정
- 상담을 받은 재혼가족 자녀의 가족정체성 변화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비연애와 비혼의 시대: 20대의 연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인간대상연구를 수행하는 고등학생 연구자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실태 연구
- 내러티브 기반 의학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 생성형 인공지능과 내러티브의 융합: 인간 중심 교육을 위한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