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쉬는 시간의 잠재적 교육과정
이용수 38
- 영문명
- Hidden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Recess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오동엽 정상원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2권 제3호, 7~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쉬는 시간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의 상당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연구 분야에서 관심있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이 논문은 초등학교 쉬는 시간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해 질적 접근을 도모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C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쉬는 시간에 대한 회고록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초등학교 학생들은 통제된 공간 속의 틈 속에서 제한된 자유를 경험한다는 점, 쉬는 시간을 통해 다양한 교류를 경험한다는 점, 초등학교 학생들이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스스로를 자율적으로 통제한다는 점, 쉬는 시간 동안 양가적인 경험을 통해 다양한 학습경험을 하고 있다는 점 등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쉬는 시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여, 교육과정 연구 및 교육 정책의 제안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lthough elementary school recess in Korea occupies a significant por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life, it has not been dealt with with interest in the field of curriculum research.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take a qualitative approach to the potential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recess.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memoirs of students at C University of Education about their recess and analyzed them qualitativel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limited freedom in the gaps of controlled spaces, experience various interactions during recess, autonomously control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needs, and have diverse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ambivalent experiences during recess. These research results will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elementary school recess, and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research and educational policy proposals.
목차
Ⅰ. 서론
Ⅱ.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
Ⅲ. 연구방법
Ⅳ. 쉬는 시간 잠재적 교육과정의 경험적 주제들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어과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고찰한 내러티브의 개념과 교육적 효용
- 백워드 설계와 내러티브를 활용한 한자어 교육 단원 설계 방안: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심리도식이론의 군 장병 내러티브 코칭 현장 적용가능성 탐색적 연구
- 문학 수업에서 내러티브의 한 유형으로서 아이러니의 활용 방안 탐구
- 초등학교 쉬는 시간의 잠재적 교육과정
- 상담을 받은 재혼가족 자녀의 가족정체성 변화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비연애와 비혼의 시대: 20대의 연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인간대상연구를 수행하는 고등학생 연구자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실태 연구
- 내러티브 기반 의학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 생성형 인공지능과 내러티브의 융합: 인간 중심 교육을 위한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hen의 “Asia as method”라는 아이디어가 교육 연구의 탈식민화에 주는 시사점: 국내 다문화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 OECD 주요국의 고등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과 재정 투자 전략 탐색
- 디지털 교실환경 유형과 학생의 학교생활 : OECD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