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을 받은 재혼가족 자녀의 가족정체성 변화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70
- 영문명
- Family Identity Change of Stepchildren with Counseling Experience : A Narrative Inquiry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박평강 김희정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2권 제3호, 111~14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담을 받은 재혼가족 자녀가 재혼가족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면서 체험하는 가족정체성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상담을 받은 경험이 어떻게 이들의 가족정체성의 의미를 구성하는데 작용하는지를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의도적 표집방법으로 3명의 참여자를 선정하였고, 참여자별로 이루어진 5∼6회의 인터뷰 대화를 주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최종 연구텍스트를 통해 가족정체성의 의미를 구성하고 은유화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결과는 ‘참여자들의 내러티브 풀어내기’ 이며, 두 번째 결과인 상담을 받은 재혼가족 자녀의 가족정체성의 의미는 개인 내적인 측면에서 ‘원 플러스 원으로 딸려온 존재로 인식하다’, ‘용기내어 상담에 몸을 던지다’, ‘웅크린 나를 바로 세우다’이다. 가족체계적 측면에서 상담을 받은 재혼가족 자녀의 가족정체성의 의미는 ‘공존할 수 없는 두 태양을 바라보다’, ‘다른 팀과 한 경기장에 앉다’, ‘뿌리 잘린 나무가 새 땅에 다시 뿌리내리다’이다. 본 연구는 내부자의 시각으로 심도 깊은 체험적 연구로서의 가치를 드러내었으며, 재혼가족 자녀를 위한 심리적 지원, 복지 향상을 위한 제도 및 지원을 위해 상담 현장의 상담자, 재혼가족 관련 연구자, 학교 현장의 교육자에게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inquiry is to explore family identity change of children from remarried families through their experience of counseling. Narrative inquiry was adopted in this study. Three participants were selected using the purposeful sampling method and interviewed 5 or 6 times per person. The first part of the study provided a narrative account of participants. The second part revealed the meanings of family identity of participants : ‘Becoming buy one get one free’, ‘Immersing myself in counseling with courage’ and ‘Standing up for myself rather than being afraid.’ In family systemic perspectives, the meanings of family identity were ‘Facing two Suns that cannot coexist’, ‘ Being one team with another’ and ‘A rootless tree grows in fertile soil.’ This study provides an insiders’ perspectives on remarried families and the experience of forming family identity through a counseling process. In addition, it requests educational, psychological and government support for children from remarried families. Finally, suggestions for counselors, family researchers, and educators were proposed.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구방법
Ⅲ. 결과 1_내러티브 풀어내기
Ⅳ. 결과 2_상담을 받은 재혼가족 자녀의 가족정체성의 의미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어과 표현 교육의 맥락에서 고찰한 내러티브의 개념과 교육적 효용
- 백워드 설계와 내러티브를 활용한 한자어 교육 단원 설계 방안: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심리도식이론의 군 장병 내러티브 코칭 현장 적용가능성 탐색적 연구
- 문학 수업에서 내러티브의 한 유형으로서 아이러니의 활용 방안 탐구
- 초등학교 쉬는 시간의 잠재적 교육과정
- 상담을 받은 재혼가족 자녀의 가족정체성 변화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비연애와 비혼의 시대: 20대의 연애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인간대상연구를 수행하는 고등학생 연구자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실태 연구
- 내러티브 기반 의학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 생성형 인공지능과 내러티브의 융합: 인간 중심 교육을 위한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hen의 “Asia as method”라는 아이디어가 교육 연구의 탈식민화에 주는 시사점: 국내 다문화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 OECD 주요국의 고등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과 재정 투자 전략 탐색
- 디지털 교실환경 유형과 학생의 학교생활 : OECD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