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경험학습・협력학습・탐구학습 척도 개발 연구

이용수 44

영문명
Development of a Scale for Experience, Collaboration, and Enquiry based Learning in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권다남 배예나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4권 제3호, 261~28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학습경험의 결과로서 대학생의 경험학습, 협력학습, 탐구학습 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 및 경험학습, 협력학습, 탐구학습에 대한 FGI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고, I대학교 학생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경험학습’ 영역에는 경험, 성찰, 추상적 개념화, 몰입 등이 포함되었다. 둘째, ‘협력학습’ 영역에는 협력, 팀기여, 구성원의 다양성 존중, 구성원 간 친밀한 관계 등이 포함되었다. 셋째, ‘탐구학습’ 영역에서는 깊이있는 학습, 창의적인 문제해결, 문제해결방법의 설계, 종합적 사고 등이 포함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학습자중심 교육을 위한 경험학습・협력학습・탐구학습의 요소를 도출하고, 학습경험의 결과로서 대학생의 경험학습, 협력학습, 탐구학습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통합적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 경험학습, 협력학습, 탐구학습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tool to measure experiential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and enquiry-based learning cap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ir learning experiences. Method: To achieve this,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existing research and FGI results on experiential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and enquiry-based learning.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8 students at I University.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tial learning’ area included experience, reflection, abstract conceptualization, and immersion. Second, the ‘collaborative learning’ area included collaboration, team contribution, respect for the diversity of members, and close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Third, the ‘enquiry-based learning’ area included in-depth learning,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design of problem solving methods, and comprehensive thinking. Conclusion: This study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derived key elements of experiential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and enquiry-based learning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the study discussed ways to strengthen experiential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and enquiry-based learning in colleg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다남,배예나. (2024).대학생의 경험학습・협력학습・탐구학습 척도 개발 연구. 교육혁신연구, 34 (3), 261-287

MLA

권다남,배예나. "대학생의 경험학습・협력학습・탐구학습 척도 개발 연구." 교육혁신연구, 34.3(2024): 261-2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