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불안과 성취의 관계에서 끈기의 조절효과
이용수 22
- 영문명
- A Moderating Effect of Persis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 Anxiety and Achievement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조은혜 임효진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4권 제3호, 123~1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수학불안과 성취의 관계에서 끈기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검증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PISA 2022 우리나라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잠재조절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수학불안이 높을수록 수학성취가 낮아지고, 끈기는 높을수록 수학성취가 높아졌다. 또한 끈기는 수학불안이 성취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끈기가 수학불안과 성취와의 관계를 완충하는 변인일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요인으로서도 성취에 기여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수학불안이 높을 때보다는 낮을 때 끈기 수준에 따른 수학성취의 차이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으므로, 수학성취 향상을 위해서는 수학불안에 대한 개입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동시에 끈기 향상을 위한 내용 요소도 포함시킬 때 교육의 효과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ole of persis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 anxiety and math achievement. Method: For this purpose, PISA 2022 data for Korea were utilized. To test the hypotheses, we employed the 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LMS) technique. Results: Findings indicated that higher levels of math anxiety were associated with lower math achievement, while higher levels of persistence were linked to higher math achievement. Furthermore, persistence was found to mitigate the negative impact of math anxiety on achievement.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persistence not only buffer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 anxiety and achievement but also contributes positively to achievement. However, the difference in math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persistence was more pronounced when math anxiety was low compared to when it was high. Therefore, to enhance math achievement,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interventions addressing math anxiety reduction. Additionally, incorporating strategies to improve persistence could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적 관점에서 주목하는 메타버스 속성과 실천 과제: 교육 활동가들의 메타버스 집담회 참여를 통한 문화기술지적 접근
-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대학진학 첫 세대와 후속 세대 간 비교
- 예비 특수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와 ICT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의 매개 효과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배려의 종단매개효과
- 대학생의 경험학습・협력학습・탐구학습 척도 개발 연구
- 교육정책 문서에서의 돌봄 담론 분석
- 포스트휴먼 교육 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 유아교사가 경험한 유・초 이음교육: 부산시 유・초연계 이음학기 시범유치원을 중심으로
- 교사-학생 관계에서 좌절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체험분석
- 수학불안과 성취의 관계에서 끈기의 조절효과
- 중학생 시기 학업적 자아개념과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이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 유아와 찰흙의 내부-작용에서 놀이에 대한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