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적 관점에서 주목하는 메타버스 속성과 실천 과제: 교육 활동가들의 메타버스 집담회 참여를 통한 문화기술지적 접근

이용수 60

영문명
Educational Perspectives on Metaverse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Challenges: An Ethnographic Approach Through Educators' Metaverse Focus Group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강주현 허나원 정연숙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4권 제3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교육자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메타버스의 속성과 교육적 가치, 사회적 쟁점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메타버스가 교육 현장에 미칠 영향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교육적 접근 방식을 고민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OO대학교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된 <메타버스 교육 리더 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10명의 교육 연구자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에서 수집한 질적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메타버스가 교육에서 창의성 증진, 시공간 제약 해소, 다양한 체험 제공 등 긍정적인 가치를 지닌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메타버스의 활용이 정체성 혼란,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부족, 그리고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무관심 등의 부정적인 측면을 동반할 수 있다고 우려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메타버스의 잠재적인 교육적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그 활용에 있어 신중함과 윤리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논의 및 결론: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체계적 접근과 윤리적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메타버스가 교육의 혁신적인 도구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윤리적 기준과 교육적 규범을 명확히 하고, 현장 교육자들의 신뢰와 실질적인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ducator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use of the metaverse and explore its characteristics, educational value, and social issues. The primary objective wa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metaverse on educational settings and to consider educational approaches based on these insights. Method: The study analyzed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focus groups involving 10 educational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nducted online at OO University. Results: Participants evaluated the metaverse as having positive educational values, such as enhancing creativity, overcoming spatial and temporal limitations, and providing diverse experiences. However, they expressed concerns about potential negative aspects, such as identity confusion, lack of non-verbal communication, and indifference towards social minor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acknowledging the metaverse's potential educational value, caution and ethical considerations are necessary in its use. Conclusion: The need for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educational use of the metaverse and ethical education was emphasized. For the metaverse to become an innovative educational tool, it is crucial to clarify ethical standards and educational norms alongside technological advancements, as well as practical utilization strategies that earn the trust of field educato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주현,허나원,정연숙. (2024).교육적 관점에서 주목하는 메타버스 속성과 실천 과제: 교육 활동가들의 메타버스 집담회 참여를 통한 문화기술지적 접근. 교육혁신연구, 34 (3), 1-26

MLA

강주현,허나원,정연숙. "교육적 관점에서 주목하는 메타버스 속성과 실천 과제: 교육 활동가들의 메타버스 집담회 참여를 통한 문화기술지적 접근." 교육혁신연구, 34.3(2024):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