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정책 문서에서의 돌봄 담론 분석
이용수 111
- 영문명
- Analysis of Care Discourse in Educational Policy Document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손유진 서보순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4권 제3호, 27~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교육정책 문서의 텍스트를 통해 돌봄 담론을 분석하여, 교육정책에서 돌봄을 바라보는 관점과 현상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발표된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교육정책 문서 54종에서 ‘돌봄’ 단어가 포함된 문단의 텍스트를 연구자료로 채택하였다. 출현 빈도, 동시출현 빈도, TF-IDF로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실행한 다음 담론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첫째, ‘돌봄’, ‘운영’, ‘지원’, ‘교실’, ‘방과후교육과정’의 출현 빈도가 높고, 행정 행위, 기관, 공간, 프로그램, 시간, 서비스와 수요를 나타내는 단어가 자주 등장했다. 둘째, 우리나라 교육정책 문서에서 돌봄은 ‘공적 돌봄으로 이름 붙인 분업’, ‘생애 초기로 집중되는 돌봄 처방’, ‘교육기관에 더 머무르는 신체적 돌봄’, ‘수요자의 요구에 뒤따라가는 돌봄 서비스’, ‘돌봄 책무의 연계와 시범적 협력’으로 드러남을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의 시간을 위한 교육・돌봄의 실천적 개념 형성과 상생적 교육・돌봄 체계 구축을 위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부모, 아동, 교사, 기관, 지역과 사회가 모두 건강하게 살아가는 데 있어 돌봄이 교육과 통합되는 방식은 현재 사회서비스적 접근에서 사회 보편적 행위로 확장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돌봄이 교육으로 통합되는 방식과 내용은 윤리적 차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scourse on care through the text of educational policy documents and discover the perspectives and phenomena of care in education policy. Method: For this purpose, the text of paragraphs containing the word ‘care’ from 54 educational policy documen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published over three years from 2022 to 2024 were selected as research data. Text mining analysis was performed followed by critical discours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firs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care’, ‘operation’, ‘support’, ‘classroom’, and ‘after-school curriculum’ was high, and words expressing services and demand appeared frequently. Second, in Korea's educational policy documents, care refers to ‘division of labor named public care’, ‘care prescription focused on early life’, ‘physical care that stays longer in educational institutions’, ‘care services that follow the needs of consumer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revealed as ‘linkage of care responsibilities and pilot cooperation’. Conclusion: In this study, discussions were provided to form a practical concept of education and care for children's time and to establish a win-win education and care system.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way in which care is integrated with education so that parents, children, teachers, institutions, regions, and society can all live healthy lives should be expanded from the current social service approach to a universal social action. The method and content of how care is integrated into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thical leve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적 관점에서 주목하는 메타버스 속성과 실천 과제: 교육 활동가들의 메타버스 집담회 참여를 통한 문화기술지적 접근
-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대학진학 첫 세대와 후속 세대 간 비교
- 예비 특수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와 ICT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의 매개 효과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배려의 종단매개효과
- 대학생의 경험학습・협력학습・탐구학습 척도 개발 연구
- 교육정책 문서에서의 돌봄 담론 분석
- 포스트휴먼 교육 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 유아교사가 경험한 유・초 이음교육: 부산시 유・초연계 이음학기 시범유치원을 중심으로
- 교사-학생 관계에서 좌절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체험분석
- 수학불안과 성취의 관계에서 끈기의 조절효과
- 중학생 시기 학업적 자아개념과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이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 유아와 찰흙의 내부-작용에서 놀이에 대한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학생 데이터 리터러시의 성차: 개인과 수업 변인의 영향력 차이
- 대학 진학을 위한 학력 준비도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 명시적 화용 교수가 중학생 영어 학습자의 요청 이메일 작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