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진학을 위한 학력 준비도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ademic Readiness Test for University Entrance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김선희(Sun Hee Kim) 이유진(Yujin Lee)
- 간행물 정보
-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Vol.34, No.1, 87~11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이 대학 진학을 위한 학력 준비도를 스스로 점검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선행연구와 전문가들의 자문하에 문항을 개발하고, 중학생과 고등학생 각각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학습관리, 학습전략, 진로탐색, 진로목표, 학력향상지원, 학습불안, 자기효능감, 성장마인드셋의 8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중학생에게는 성실성과 학습동기, 고등학생에게는 진학준비, 자신감, 학습가치, 학습참여의 요인이 별개로 선정되었다. 이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은 스스로 자신을 점검할 수 있고 교사들은 검사결과를 통해 학생 개별 맞춤형 지도를 실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연구 결과를 산출하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an instrument that allows students to self-check their academic readiness for university entrance.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prior research with advise from experts. Als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eight factors were derived for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management, learning strategy, career exploration, career goal, support for academic improvement, learning anxiety, self-efficacy, and growth mindset. Factors such as sincerity and learning motiv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such as university readiness, confidence, learning value, and learning engag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were separately selected each. Using this instrument, students can check their academic readiness, teachers can conduct individual guidance for the students, and it can also be used as a data to produce various research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편향에 대한 도덕적 메타인지의 도덕교육적 활용 방안
- 아동문학 활용 초등 영어수업이 세계시민성 및 영어 리터러시 함양에 미치는 영향
-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 시민성 관련 서술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 과학-기술-사회와 관련된 고등학생의 견해에 대한 예비화학교사의 지식과 교육적 요구
- 장애학생 행동중재 지원 사업을 운영한 담당 장학사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 초등학생 데이터 리터러시의 성차: 개인과 수업 변인의 영향력 차이
- 대학 진학을 위한 학력 준비도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 명시적 화용 교수가 중학생 영어 학습자의 요청 이메일 작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