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학-기술-사회와 관련된 고등학생의 견해에 대한 예비화학교사의 지식과 교육적 요구
이용수 0
- 영문명
-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Regarding High School Students’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김혜린(Haerheen Kim) 차정호(Jeongho Cha) 노태희(Taehee Noh)
- 간행물 정보
-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Vol.34, No.1, 145~1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사회(STS)와 관련된 고등학생의 견해에 대한 예비화학교사의 지식과 교육적 요구를 조사하였다. 서울권, 충청권, 경상권에 소재한 3개 사범대학에서 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한 4학년 예비화학교사 2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9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학생이 가진 STS에 대한 견해를 잘 예상하지 못했으며, 예상하더라도 그 근거가 명확하지 않거나 개인의 경험과 생각을 바탕으로 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실제 학생을 관찰한 경험을 근거로 예상한 경우는 매우 적었으며, 교과교육학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참고한 경우는 없었다. 예비교사는 학생의 견해를 잘 알기 위해 교육실습과 같이 학생을 직접 접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며, 교과교육학 수업과 교육과정 자료 및 출판사 제공 자료에서 학생이 가질 수 있는 견해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화학교사 교육과정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regarding high school students’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STS). Twenty-nine senior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who had completed the entire curricula at one of the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Chungcheong, and Gyeongsang regi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Surveys and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struggled to accurately predict students’ views on the STS, often basing their predictions on personal experiences rather than perceived patterns or findings in literature. In order to understand students’ views better, they emphasized more opportunities such as teaching practice to interact directly with students. They also suggested that the courses and curriculum materials should provide insights into potential student perspectives. Based on these finding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eservice chemistry teacher education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편향에 대한 도덕적 메타인지의 도덕교육적 활용 방안
- 아동문학 활용 초등 영어수업이 세계시민성 및 영어 리터러시 함양에 미치는 영향
-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 시민성 관련 서술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 과학-기술-사회와 관련된 고등학생의 견해에 대한 예비화학교사의 지식과 교육적 요구
- 장애학생 행동중재 지원 사업을 운영한 담당 장학사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 초등학생 데이터 리터러시의 성차: 개인과 수업 변인의 영향력 차이
- 대학 진학을 위한 학력 준비도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 명시적 화용 교수가 중학생 영어 학습자의 요청 이메일 작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