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 시민성 관련 서술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Descriptions of Ecological Citizenship in Social Studies Textbooks: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s 'Integrated Society' Textbooks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저자명
이동훈(Donghoon Lee)
간행물 정보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Vol.34, No.1, 1~3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사회> 교과서 8종에서 나타난 ‘생태시민’에 대한 서술을 분석하여, 그 양상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사회>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처음으로 제시된 ‘생태시민’과 ‘생태시민의 자질’에 대한 교과서별 서술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일부 교과서는 ‘생태시민’의 개념 정의 없이 ‘생태시민의 자질’을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생태시민의 개념 정의에는 생태 문제에 대한 시·공간적 책임 인식이나 환경 정의에 대한 서술은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며, 인지적·행동적 차원의 서술이 주를 이루고 가치·태도 영역의 서술은 대상과 범위가 제한적이었다. 셋째, 생태시민의 자질에 대한 교과서 서술은 실천적 행동을 포함하는 행동 영역의 서술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생태시민의 가치 내면화를 강조하는 가치·태도 영역의 서술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교과서는 수업의 기초이자 토대가 되는 자료이므로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내용 요소는 무엇이며, 이를 어떠한 방식으로 학습자에게 교수할 것인가에 대한 전문성 계발 활동이 체계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scription of 'ecological citizenship' that appeared in eight textbooks of 'Integrated Society'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irst, there was a large deviation in the descriptions of each textbook for 'ecological citizenship' and 'ecological citizenship competencies' in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Some textbooks suggested 'ecological citizenship competencies' without defin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citizenship'. Second,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ecological citizenhip did not include recognition of temporal and spatial responsibility for ecological problems or descriptions of environmental justice. Descriptions of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dimensions were dominant, and the descriptions of values and attitude areas were limited in subject and scope. Third, in the description of the textbook on the ecological citizenship competencies, the description of the behavioral area appeared the most, and the description of the value and attitude area was relatively insufficient. Since textbooks are the basis and foundation of classe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arry out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n what content elements should be included and how to teach them to learn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생태 시민성 관련 교과서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훈(Donghoon Lee). (2025).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 시민성 관련 서술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34 (1), 1-33

MLA

이동훈(Donghoon Lee).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 시민성 관련 서술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34.1(2025): 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