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로봇 중재의 국외 연구 동향 고찰
이용수 57
- 영문명
-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Research Trends in Robot-Assisted Interventions for Enhancing Social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선주 김미진 이숙향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7권 제3호, 181~21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에게 로봇을 활용하여 사회성 기술 지원에 대한 국외 실험연구를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과 중재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문헌 분석을 위하여 2013년부터 2024년까지 국외에 발표된 논문들 중 문헌분석 선정 기준에 따라 선정된 총 16편의 논문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동향 및 로봇을 활용한 사회성 기술 지원에 대한 중재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문헌분석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의 장애 유형은 자폐성장애 아동이 가장 많았다. 둘째, 로봇을 활용한 중재는 치료실 환경에서 가장 많이 진행되었고, 로봇이 주 중재의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로봇으로는 휴머노이드 로봇이었으며, 로봇 중재의 연구자가 중재자가 되어 단독으로 진행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로봇을 활용한 중재의 종속변인은 사회적 행동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로봇 활용 중재를 통한 사회성 기술 지원에 대한 논의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ternational experimental studies on the us e of robots to support social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research tre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For this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16 papers published internationally between 2013 and 2024 were selected bas ed on the literature review selection criteria and analyzed for overall research trends a nd the characteristics of robot-assisted social skills interv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study participants were children with autis m spectrum disorder. Second, interventions utilizing robots were most frequently cond ucted in therapeutic settings, with robots as the primary intervention tool. Furthermor e, humanoid robot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robots in these studies. Additionall y, studies were predominantly conducted by researchers who also served as intervent ionists. Third, the most common dependent variable in these robot-assisted interventio ns was social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robot-assisted interventions for supporting social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 tal disabilities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식기반 인지-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직접교수와 교육과정중심평가를 이용한 진전도 점검이 초등 3, 4학년 학습곤란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성 탐색 연구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현장 적용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용도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개정 요구 분석
- 공통 교육과정 외국어 교과로서의 수어교육 방안 고찰
- 학령기 자폐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자기관리 중재 연구 국내외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가진 학생 대상의 정서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및 과제
-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로봇 중재의 국외 연구 동향 고찰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교직논술 문항 분석
- 특수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에 따른 의미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