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령기 자폐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자기관리 중재 연구 국내외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이용수 117
- 영문명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School-Aged Autistic Children and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나지회 박민정 이소현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7권 제3호, 121~15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령기 자폐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자기관리 중재 연구의 국내외 동향과 중재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과제와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23년 사이 발표된 국내외 논문 19편을 선정하여 연구 동향과 중재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는 소수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주로 이루어졌으며, 지적장애를 동반한 참여자가 많았다. 둘째, 연구 설계는 모두 단일대상연구였으며, 일반화를 측정한 연구의 수가 적었다. 셋째, 연구 환경은 학교 환경이 많았다. 넷째, 종속변인은 주로 학업 관련 변인을 측정하고 있었다. 중재 프로그램 특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자기점검을 단일 하위요소로 한 중재였으며, 전자기기를 활용한 연구가 많았다. 중재 내용에는 주로 목표행동 변별 교육과 자기점검 및 기록 훈련이 포함되었다. 자기관리 중재의 효과 크기 분석 결과 대체로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것
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학령기 자폐 아동 및 청소년 자기관리 중재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future tasks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 research for students with autism by analyzing the trend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A total of 19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4 and 2023 were select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articipants were mainly a small number of elementary students, and many wer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research design was all single-subject design, and many did not measured generalization. Third, the setting was mainly school environment. Fourth,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ainly academic-related. According to analysis of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most of the interventions used self-monitoring as sole sub-element of self-management, and used electronic devices. The contents mainly included training the discrimination of target behaviors and self-recording. The analysis of the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PND) for the interventions indicated a generally high level of effectivene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 for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식기반 인지-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직접교수와 교육과정중심평가를 이용한 진전도 점검이 초등 3, 4학년 학습곤란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성 탐색 연구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현장 적용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용도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개정 요구 분석
- 공통 교육과정 외국어 교과로서의 수어교육 방안 고찰
- 학령기 자폐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자기관리 중재 연구 국내외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가진 학생 대상의 정서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및 과제
-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로봇 중재의 국외 연구 동향 고찰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교직논술 문항 분석
- 특수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에 따른 의미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