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가진 학생 대상의 정서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및 과제

이용수 154

영문명
Trends and Challenges in Domestic Research on Emotional Regul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Soci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지민 한윤정 정지윤 박지연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7권 제3호, 155~18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가진 학생 대상의 정서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1982년부터 2024년까지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가진 만 6세부터 19세까지의 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국내 연구 21편을 선정하여 출판연도, 연구설계, 연구 참여자, 독립변인, 연구결과, 프로그램 실시 형태, 중재량, 프로그램 성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11∼2015년에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초등학교 고학년 및 10명 이하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참여자의 특성 면에서는 장애진단, 외현화 행동문제, 가정 환경 관련 어려움보다는 정서적 어려움을 가진 참여자가 가장 많았으며, 참여자 선별 방식으로는 평정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설계 면에서는 통제집단 사전사후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대집단보다는 10명 이하의 소집단 프로그램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량을 분석한 결과, 60분 이하의 9∼12회기 중재를 제공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프로그램 성과로는 정서 관련 변인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emotional regulation interven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soci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and to explore future challenges. Twenty-one domestic studies published in Korea between 1982 and 2024, targeting students aged 6 to 19 with soci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were selected. These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publication year, research design, participants, independent variables, research outcomes, program implementation methods, intervention dosage, and program effectiveness. The results show that the most active period of research was between 2011 and 2015. Most studies targeted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volved fewer than ten participant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had emotional difficulties rather than disabilitie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r challenges related to family environment. The most common method for selecting participants was the use of rating scales. The most frequent approach was the controlled group comparison design, with a preference for small group programs of fewer than ten participants. Regarding intervention dosage, most programs provided 9 to 12 sessions, each lasting less than 60 minutes. The most common outcomes of the intervention programs were related to emotional variabl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민,한윤정,정지윤,박지연. (2024).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가진 학생 대상의 정서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및 과제.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7 (3), 155-180

MLA

김지민,한윤정,정지윤,박지연.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가진 학생 대상의 정서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및 과제."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7.3(2024): 155-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