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용도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개정 요구 분석
이용수 35
- 영문명
- 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Revision Needs for the Career and Vocation Textbooks of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승민 박은영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7권 제3호, 73~10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용도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개정 요구를 분석하여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195개의 특수학교를 유한 모집단으로 하여 특수교사 195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일반교육과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62개의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와 직업 교과용도서의 활용도는 높았으며 난이도의 수정,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22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학생의 특성과 수준의 다양성을 고려한 교과서와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포함한 지도서를 개발해야 한다. 둘째, 현재와 비슷하거나 증가한 분량, 현재와 비슷하거나 낮춘 난이도, 각 단원의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에
기반한 교과서와 학생 맞춤형 수업을 위한 안내가 포함된 지도서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인 흐름과 다양한 직업의 특성을 반영한 내용을 별도로 구분한 교과서를 개발해야 한다. 넷째, 활동지, 동영상 자료 등의 다양하고 질 높은 교수·학습 자료를 포함한 전자저작물을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새로운 자료의 업데이트, 접근의 용이성, 안정성을 갖춘 홈페이지에 기반한 전자저작물의 플랫폼을 확장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by analyz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revision needs for the Career and Vocation textbooks of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For this purpose, 195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ross the country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using 195 special schools as a finite popula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extbooks for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62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Career and Vocation textbooks was high, and there was a demand for modifications to the level of difficulty and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areer and Vocation textbooks for the 2022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xtbook that take into account the diversity of characteristics and leve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guidance book that includ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put them into practic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xtbook based on similar or increased volume, similar or lowered difficulty level, and desig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t, as well as guidance book that include guidance for customized classes for students. Third,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separately with content that reflects the trend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vocations. Fourth, electronic resources that include diverse and high-qualit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ch as worksheets and video materials must be developed. Fifth, the platform for electronic resources based on a homepage with new data updates, ease of access, and stability must be expan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식기반 인지-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직접교수와 교육과정중심평가를 이용한 진전도 점검이 초등 3, 4학년 학습곤란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성 탐색 연구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현장 적용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용도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개정 요구 분석
- 공통 교육과정 외국어 교과로서의 수어교육 방안 고찰
- 학령기 자폐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자기관리 중재 연구 국내외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가진 학생 대상의 정서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및 과제
-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로봇 중재의 국외 연구 동향 고찰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교직논술 문항 분석
- 특수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에 따른 의미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