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현장 적용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이용수 30

영문명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Special Teachers on the Field Applicability of Mathematics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22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희은 조성하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7권 제3호, 49~7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에 대한 관심도 및 지원 요구를 분석하여 현장 적용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을 높이고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필요한 지원 방향을 설정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눈덩이 표집을 통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한 특수교사로 관심도 설문지(SoCQ) 및 지원요구 설문지에 응답한 142명이 최종 분석 대상이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관심중심수용모형의 백분위점수(%), 관심도 프로파일,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기술통계, 빈도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특수교사의 관심도는 전반적으로 비사용자(nonuser) 형태를 나타냈다. 정보적 관심 단계에서 가장 높았다가 점차 감소하여 결과적 관심 단계에서 가장 낮은 관심도를 보이고, 대안적 관심 단계에서 높게 나타나는 형태(tailing-up)가 나타 났다. 둘째, 학교급, 교육과정 연수 및 관련 경험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수업 개선에 대한 인식 및 적용을 위한 요구사항에서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자료 보급, 평가도구 제작 및 보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기술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ay out the way to support how to apply on-site successfully and increase teachers' concerns in mathematics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22 by analyzing the concerns and support requirements of special teachers in mathematics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22. The participants were 142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rough the snowball sampling and completed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SoCQ) and a support needs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rcentile(%) scores and SoC profile of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overall concer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hibited a nonuser pattern. Concerns were highest at the informational stage, gradually decreasing to the lowest level at the consequence stage, and showing a tailing-up pattern with high concerns at the refocusing stage.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chool level, curriculum training, and related experience. Third, the highest demands for improving classes were the distribution of usabl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evaluation tool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were describ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은,조성하. (2024).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현장 적용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7 (3), 49-72

MLA

김희은,조성하.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현장 적용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7.3(2024): 49-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