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Participated in PLC(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나혜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7권 제3호, 231~25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3년 이상 참여한 특수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참여 경험이 특수교사의 수업관, 특수아동관, 교직관에 주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특수교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을 통해 ‘학생이 주도하는 수업, 다양성을 인정하는 수업, 교육의 주체가 협력하는 수업’을 의미하는 수업관을 형성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을 통해 ‘발전 가능성이 있는 아동, 구성주의적 존재, 고정관념과 편견을 깨뜨리는 아동’를 의미하는 특수아동관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을 통해 ‘전문성이 강화된 전문직관’을 정립할 수 있었다. 넷째, 특수교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지속시키는 원동력의 가치를 ‘배움의 가치, 구성원간의 신뢰와 동료애, 소속감과 동질감, 성취의 결과물’로 인식하였고, 특수교사에게 전문적 학습공동체란 ‘성장하기 위한 학습공동체, 발전을 위한 도약대, 함께하는 동반자, 하나되는 공동체’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필요성을 강조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a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in PLC activities.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9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PLC by conduct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them. Colaizz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experience of PLC activ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s to teaching were shaped to pursue ‘Student-led classes, classes that recognize diversity, classes where the main body of education cooperates’. Seco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view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Children with potential for development, constructivist beings, and children who break stereotypes and prejudice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ble to establish a 'Perspectives to teaching profession with enhanced expertise' through their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PLC. Four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value of driving force that sustains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s ‘the value of learning, trust and camaraderie among members, sense of belonging and homogeneity, and outcome of achievem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s ‘a learning community for growth, a springboard for development, a companion, and a community of un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mphasized the need for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uggested ways to activate i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식기반 인지-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직접교수와 교육과정중심평가를 이용한 진전도 점검이 초등 3, 4학년 학습곤란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성 탐색 연구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현장 적용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용도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개정 요구 분석
- 공통 교육과정 외국어 교과로서의 수어교육 방안 고찰
- 학령기 자폐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자기관리 중재 연구 국내외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가진 학생 대상의 정서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및 과제
-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로봇 중재의 국외 연구 동향 고찰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교직논술 문항 분석
- 특수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에 따른 의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