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43

영문명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Using Text Mining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희섭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7권 제3호, 24~48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변화를 살피고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출판된 학술지 발표 연구논문 중 ‘기본 교육과정’ 검색어로 추출된 1998년부터 2024년까지 351편의 논문 제목과 초록을 수집하고, 2016년을 기준으로 전기(1998~2015년)와 후기(2016~2024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추출된 키워드는 정제 후, 각 시기에 대한 빈도분석, 의미연결망 및 CONCOR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분석결과를 몇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 교육과정 관련 연구의 주요 키워드는 ‘특수학교’, ‘교사’, ‘내용’ ‘교과’, ‘구성’, ‘성취기준’ 등 이었으며, TF-IDF 가중치 분석결과도 출현빈도의 순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네트워크로 표현한 연결정도 중심성은 전기에는 ‘특수학교’, ‘교사’, ‘내용’, ‘교과’, 후기에는 ‘교사’, ‘교과’, ‘내용’, ‘성취기준’들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셋째, CONCOR 군집분석에서는 전기와 후기에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는 특수학교 중심으로 교사의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으로 키워드들이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특수교육 분야의 교육과정 이론 연구 확대, 개정 시기별로 기본 교육과정에 반영된 주요 관점, 개념, 용어들에 대한 깊이 있는 검토, 기본 교육과정 관련 연구들의 주제와 방법 등의 다변화, 다양한 측면에서의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basic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and explore its direction. A total of 351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 from 1998 to 2024 were analyzed, divided into two periods: early (1998–2015) and later (2016–2024). Key findings include: First, the main keywords identified were "special schools," "teachers," "content," "subjects," "composi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with similar results from TF-IDF analysis. Second, in the early period, focus was on "special schools" and "teachers," while in the later period, it shifted to "teachers," "subjects," and "achievement standards." Third, the CONCOR analysis showed a concentration of keywords around "classes utilizing teachers' subjects in special schools applying the basic curriculum." The study suggests expanding theoretical research on special education curricula, reviewing key concepts during curriculum revisions, diversifying research themes and methods, and exploring curriculum theory and practice from various perspectiv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희섭. (2024).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7 (3), 24-48

MLA

정희섭.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7.3(2024): 24-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