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 자신으로의 전환: 자기연구를 통한 성찰 대상과 목적에 대한 재고
이용수 153
- 영문명
- A Transition to Teacher the Self: Reconsideration of the Object and the Purpose of Reflection through Self-study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박순복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2호, 323~3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수업 성찰의 목적과 대상이 교사 자신에게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는 데 있다. 기존의 교사 수업 성찰은 대부분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 실천적 지식을 획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어왔다. 하지만 실천적 지식을 얻기 위한 교과내용, 교수환경, 교수전략을 성찰하는 것은 교사 자신이 아닌 교수 행위에 초점을 두고 있어서, 본 연구는 이와 함께 성찰을 교사 내면으로 확장하거나 방향 지어야 함을 연구자의 자기연구를 통해 기술하고 실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저널을 자료로 사용하며, 더불어 연구자의 경험을 성찰 질문들과 함께 교과목 지식 전달, 수업 진행, 영어 사용, 학생과의 관계 측면에서 들려준다. Parker Palmer의 사상대로 가르침을 교사의 자아를 보여주는 행위로 인지함으로써 연구자의 두려움과 공포를 극복하고 어떻게 수업에서 자아가 편안해졌는지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성찰 실천과 교사교육에 대한 함축성을 논의하고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at the object and the purpose of teacher reflection should be transferred to teacher the self. Most of the existing teacher reflection has aimed to obtain practical knowledge for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Yet the reflection of subject knowledge, teaching environment, and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for practical knowledge has mainly focused on teaching actions, so this research explores to prove, through self-study, that the reflection should be extended or turned to teacher inner self. For this, the study uses teaching journals as primary data and tells the researcher’s experiences with reflection questions in the delivery of subject knowledge, instructional progress, the use of English(foreign language), and the interaction with students. Depending on Parker Palmer’s educational philosophy, the researcher practices and proves herself that teaching is to show teacher the self, and shows that she has considerably got over her fear and a sense of horror and now feels much more peaceful in her teaching. Finally, the study discusses its implications on teacher reflection and teac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기존의 수업 성찰
Ⅲ. 연구 방법 및 자료
Ⅳ. 연구 배경
Ⅴ. 연구 결과 및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사의 ‘승진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
- LASSO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교사 소진 예측 변인 분석
-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진로학업설계 지도 역량강화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진로지도 자기효능감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 예비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교직 수업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실천에 대한 인식
- MZ세대와 기성세대 초등교사 간 가치관, 수업활동, 직무만족 및 소진 차이
- 교사 자신으로의 전환: 자기연구를 통한 성찰 대상과 목적에 대한 재고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역사 강사의 직무 및 교육요구도 분석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탐색
- 미래형 평가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탐색 연구
- 교사의 학교 행정업무 비중이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위계적 선형모형을 중심으로
-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교육지도성 연구동향 분석
- 교원양성과정의 실무연계성에 대한 교사 잠재프로파일 분석: 영향요인 및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초등교원양성대학의 미술교육방법론 강의 개선 : 미술교육 쟁점을 중심으로 한 수업 분석을 통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